산업 IT

LGU+ 'LG전자 챙겨주기' 끝?

LG전자 스마트폰 구매 줄여

양사 거래액 3년새 반토막

LGU+ 영업익은 계속 늘어

"공정거래법 이슈 등 영향

노골적 지원은 어려울 것"



LG유플러스(032640)의 LG전자 챙기기는 유별난 것으로 유명하다. 스마트폰 열풍이 불었던 2010년 LG유플러스는 7,257억원 상당의 물품을 LG전자로부터 사들였으나 LG전자로부터 발생한 매출은 40억원에 불과했다. 2012년에는 LG전자로부터의 매입액이 1조774억원으로 껑충 뛰었지만 매출액은 34억원으로 되레 줄었다. LG전자와의 매출·매입 금액을 별도 공시하지 않기 시작한 2013년에는 거래액이 1조2,708억원까지 뛰기도 했다. 하지만 2013년이 마지막이었다. 이후 양사간 거래액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에는 총 6,781억원으로 2013년의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형제애가 남달랐던 이들 업체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와 LG전자와의 거래액이 최근 3년간 급속히 줄고 있다. LG유플러스와 LG전자간 거래액 대부분은 스마트폰 구입 비용이다. 최근 들어서 LG유플러스가 LG전자 스마트폰을 사주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 같은 상황은 LG전자 스마트폰의 위상 하락과 관련이 깊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LG전자는 지난 2014년 약 1,000만대가 팔린 G3 이후 스마트폰 시장에서 힘을 못 쓰고 있다. 특히 지난해 3월 내놓은 모듈형 제품 G5는 출시 석달 만에 일부 통신사에서 ‘1+1’ 행사를 벌일 정도로 ‘찬밥’ 신세였다.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가 지난 2월 공개한 전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자료에서도 LG전자는 화웨이·오포·BBK 등 중국 업체보다도 순위가 낮아 별도 순위가 공개되지 않을 정도다.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LG전자를 챙겨주고 싶어도 손을 쓰기 힘든 상황이 이어졌던 것이다.


LG유플러스 측에서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에 따라 보급형 제품 수요가 늘면서 스마트폰 구입 비용이 전체적으로 줄어든 영향”이라는 분석을 내놓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 LG유플러스의 단말기 판매에 따른 매출은 2013년 3조5,986억원에서 이듬해 단통법 시행에 따른 영향으로 2조5,881억원으로 대폭 줄었으며 2015년에도 2조1,526억원으로 추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2조4,390억원으로 반등했다. 반면 LG전자와의 거래금액은 2015년 7,769억원에서 지난 해에는 6,781억원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의 영업이익은 LG전자와의 거래를 줄인 이후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 2013년 5,421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은 지난 해 7,465억원까지 뛰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유플러스가 지난 2014년 아이폰을 도입한 이후부터 LG전자와의 거래량을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LG전자 출신인 권영수 부회장이라 할지라도 공정거래법 관련 이슈 등으로 ‘친정’ 제품을 내놓고 지원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