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 구조 밝혔다

디싸이오바이오틴(D)-페놀은 과산화효소 반응에 의해 라디칼이 되고, 주변 단백질 표면에 있는 타이로신기에 결합한다. /사진=UNIST디싸이오바이오틴(D)-페놀은 과산화효소 반응에 의해 라디칼이 되고, 주변 단백질 표면에 있는 타이로신기에 결합한다. /사진=UNIST


질병 원인으로 꼽히는 ‘막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할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신약 개발에서 고난이도로 꼽히던 단계를 해결해 각종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전망이다.

UNIST 자연과학부의 이현우 교수팀과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 김종서 교수팀은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막단백질에 특정한 화학 물질을 붙여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활용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내막 단백질 135개의 구조를 확인하거나 바로잡았다. 미토콘트리아 내막단백질의 구조를 정확히 보여주는 지도 완성에 한걸음 다가선 셈이다. 이현우 교수는 “막단백질은 단백질 구조 분석 중에서도 고난이도 과제로 꼽힌다”며 “이번 기술은 미토콘드리아 막단백질뿐 아니라 다른 세포 소기관의 막단백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막단백질은 세포막에 끼어있는 단백질로 세포 내에 영양분이나 신호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이 망가지면 질병이 생길 수 있어 신약 개발에서는 막단백질을 이해하는 게 중요한 과제다.

관련기사



이현우 교수팀은 살아있는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있는 단백질을 ‘디싸이오바이오틴-페놀’을 붙인 다음 질량 분석기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막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했다. 이번 연구에서 쓰인 페놀 종류인 디싸이오바이오틴-페놀은 기존 연구에서 사용했던 바이오틴-페놀보다 염색된 단백질 조각(펩타이드)을 많이 회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질량분석기로 분석할 시료가 많아지면 막단백질 구조 파악의 효율도 높아진다.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이송이 UNIST 자연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미토콘드리아의 기질과 막 사이 공간에 모두 과산화수소를 넣어 반응을 유도하면, 타이로신기가 튀어나온 방향에만 디싸이오바이오틴-페놀이 붙게 된다”며 “과산화효소 반응을 마친 세포를 깨트려 단백질을 자르고 질량분석기로 분석하면 막단백질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과 기초과학연구원(IBS)을 통해 이뤄진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다.

이현우 UNIST 교수/사진=UNIST이현우 UNIST 교수/사진=UN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