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부유세' 佛 대선 막판 변수로

"개혁·폐지"보다 "유지" 여론 상승

중도 마크롱·우파 피용 후보 악영향

좌파 멜랑숑은 지지율 3위로 부상

프랑스 TV토론에서 한 자리에 모인  유력 대선후보들./AFP연합뉴스프랑스 TV토론에서 한 자리에 모인 유력 대선후보들./AFP연합뉴스




대선 1차 투표를 보름여 앞둔 프랑스에서 ‘부유세’가 새로운 선거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갈수록 부유세 폐지나 개혁보다는 유지 여론이 상승세를 타 막바지 대선 판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부유세 개혁 또는 폐지를 주장하는 중도파 에마뉘엘 마크롱 전진당 후보와 우파인 프랑수아 피용 공화당 후보가 다른 후보들의 역공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프랑스 부유세는 금융위기 이후인 지난 2008년 부활해 현재 연간 소득 130만유로(약 15억3,000만원) 이상인 이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마크롱 후보는 부동산 소득에만 부유세를 부과하고 투자 소득에는 부과하지 않는 방향으로 부유세를 개혁할 방침이다. 피용 후보는 좌파적 세금정책 철폐를 주장하며 부유세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반면 나머지 후보들은 부유층의 세금을 줄이는 안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좌파당 후보 장 뤽 멜랑숑은 연간 36만유로(약 4억3,500만원) 이상 버는 부유층에 대한 소득세 인상을 공약으로 내걸어 양 후보를 압박하고 있다. 멜랑숑은 “고통과 비참함을 쥐어짜 돈을 버는 자유시장주의자 외에 다른 선택지가 있다”고 강조하며 상승 흐름을 타 지난주 말 일부 여론조사에서 18∼19%의 지지율로 피용 후보를 제치고 3위로 부상했다. 포퓰리즘적 공약을 앞세운 극우파 마린 르펜 극우전선(FN) 후보도 “마크롱은 금융가 후보”라며 부유세를 마크롱 후보에 대한 공격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프랑스 주요 여론조사에서 마크롱과 르펜은 23∼24%의 지지율로 선두를 다투고 있다. 하지만 네 후보의 지지율이 20% 선에서 비교적 고르고 부동층이 많아 섣불리 결선 진출 후보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FT는 “부유세 도입에 따른 손해가 더 크다는 게 공론이지만 금융위기 당시 프랑스 부유층의 참회록 형태로 부활하면서 언급 자체가 금기시돼왔다”며 관련 논란이 막바지 대선 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관측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