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BDI “시민과 소통하는 시정 위해 소셜 빅데이터 적극 활용해야”

시민과 소통하는 시정을 위해서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는 소셜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원장 강성철)은 10일 BDI 정책포커스 ‘시민과 소통하는 시정: 소셜 빅데이터 활용’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하고 소셜 빅데이터를 시정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SNS와 같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의 등장으로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정부나 기업은 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소셜 빅데이터는 SNS, 트위터, 블로그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부산발전연구원과 부산시는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구축해놓고 있는데 이를 통해 부산 관련 이슈와 당일 버즈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긍정·부정의 현황을 알 수 있어 시정에 대한 시민 반응 파악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시정에 활용한 사례도 있다. 지난해 9월 12일 경주에서 강진이 발생했을 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진 이후 안전에 대한 여론을 파악했다. 같은 해 10월 5일 태풍 차바가 부산을 통과하면서 해안가에 큰 피해가 발생했을 때도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여론을 파악했다.

관련기사



지진 이후 나타난 연관어와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의견 분석의 예./제공=부산발전연구원지진 이후 나타난 연관어와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의견 분석의 예./제공=부산발전연구원


보고서를 작성한 오동하 선임연구위원은 “지진 이후 나타난 다양한 소셜 빅데이터 의견을 반영해 대책을 마련할 수 있고 태풍 피해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 피해 파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고 말했다. 오 선임연구위원은 소셜 빅데이터를 시정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셜 빅데이터의 다양한 시정에 시범 적용 및 점진적 확대 △소셜 빅데이터를 다른 분야 데이터와 융합하는 방안 마련 △소셜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데이터 확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체계 확립 필요 등을 제시했다.

그는 “관광, 교통, 환경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하고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해 관광편의 증진, 교통환경 개선, 환경 보전 등 지역사회 이슈 해결에 새로운 방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셜 빅데이터를 행정, 보건, 복지, 안전 데이터와 결합해 새로운 욕구를 파악하거나 시사점을 찾아 시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며“숨어 있는 복지 수요 파악, 전염병 확산 방지, 재난지역 신속 파악 등에 기존 자료와 소셜 빅데이터를 융합하면 효율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