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DNA 나노 꽃 피었다

DNA 나노꽂이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B 최신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시진제공=KAISTDNA 나노꽂이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B 최신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시진제공=KAIST


국내 연구진이 DNA를 이용해 상온에서 꽃 모양의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아민과 아마이드 구조를 포함한 DNA와 구리 이온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이를 이용해 환경 친화적 조건에서 DNA를 고농도로 포집한 꽃 모양의 나노 구조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 교수 연구팀이 가천대학교 김문일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출신의 박기수 박사(현 건국대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B 2017년 12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꽃 모양의 나노 물질은 표면이 거칠고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촉매, 전자기술 및 분석 화학을 비롯해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단백질을 이용한 나노 꽃 제작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효소에 비해 높은 활성, 안정성 및 내구성을 지닌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단백질 나노 꽃 합성은 고온에서 열수 처리를 통해야만 가능했기 때문에 DNA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연구팀은 문제 해결을 위해 생체 고분자 물질인 핵산이 아마이드 결합 및 아민 그룹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핵산을 이용한 나노 꽃 구조물 제작이 상온의 친환경적 조건에서 가능함을 증명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개발된 DNA 기반 나노 꽃 구조물은 기존 기술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갖는다. 유해한 화학물질 없이 친환경 제작이 가능하고 낮은 세포독성을 갖는다. 또한 고효율의 DNA 포집이 가능하고 나노 꽃 내부에 포집된 DNA는 핵산 분해효소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보임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합성하고 이를 유전자 치료 및 바이오센서 개발에 응용할 예정이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DNA를 이용해 상온에서 합성된 나노 꽃 입자는 낮은 세포독성 특성을 띠면서 DNA를 핵산 절단효소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향후 유전자 치료용 전달체 등에 응용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글로벌프론티어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