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예정화 “매화 아닌 벚꽃” 2차 해명에도 네티즌 “매화 같은데” 의심

예정화 “매화 아닌 벚꽃” 2차 해명에도 네티즌 “매화 같은데” 의심




방송인 예정화가 화보 촬영 중 전주의 명물 매화 와룡매 훼손 논란에 휩싸였다.


예정화는 17일 자신의 SNS에 전주 한옥 마을을 방문 당시 한복을 입고 찍었던 사진을 게재했다.

해당 사진 속에서 예정화는 출입이 금지된 울타리 안에 들어가 꺾인 매화나무 가지를 붙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예정화가 사진을 촬영한 곳은 출입이 금지된 곳인데다가 사진 속 매화나무는 수명이 100년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는 어진 박물관에서 특별전을 열 정도로 그 의미가 깊은 나무다.


논란이 되자 예정화 소속사 데이드림엔터테인먼트는 오전 1차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해당 사진은 화보 촬영차 방문한 전주에서 찍은 사진으로, 해당 매화 가지는 촬영용 모형 소품”며 “나무를 훼손하지는 않았으나 출입이 제한된 공간에 입장해 사진을 촬영한 것은 잘못된 행동임을 인지하고 있다. 이에 진심으로 뉘우치며 반성하고 있다. 앞으로 더 주의하고 행동하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문화재청 대변인실은 “와룡매 근처가 비공개 지역은 아니기에 촬영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울타리 안으로 들어간 것은 초등학생도 알 수 있는 비도덕적 행위”라며 “만약 예정화 측에서 모형이라고 주장하는 매화가 실제 와룡매의 가지를 꺾은 것이라면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주시청 전통문화유산과도 “울타리 안으로 들어간 것과 매화 가지를 꺾은 것에 대해서는, 실무자를 법무팀에 보내어 법적 절차를 검토 중”이라며 “예정화 측은 해당 가지가 ‘모형’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법무팀과의 상의 끝에 법에 저촉되는 문제가 발견되면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논란이 더욱 커지자 예정화 측은 2차 보도자료를 통해 “사진에서 보이는 꽃은 촬영용 소품으로, 매화가 아닌 벚꽃나무이며 매화 나무를 훼손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번 알려드린다“며 ”출입이 제한된 구역에 입장한 것에 대해서는 전주시 전통문화유산과 경기전부서와 통화하여 사과의 말씀을 전했으며, 사진에 대해서도 벚꽃나무임을 확인 받았다“고 재차 해명했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예정화 측의 2차 해명에도 불구하고 사진 속 예정화가 들고 있는 나뭇가지는 벚꽃이 아닌 매화로 보인다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또한 벚꽃가지는 마음대로 꺽어도 되는 것이냐며 분노했다.

[사진=예정화 인스타그램]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