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갤럭시S8 효과.. 이통사들 속도경쟁 불붙었다

SKT, 5개 주파수 묶는 5밴드 CA기술 선보여... 최대 700Mbps 속도

엑시노스9 AP가 탑재된 갤럭시S8에서만 가능.. 다중안테나 기술 적용해 향후 1.2Gbps로까지 속도 높이겠다는 계획

KT와 LG유플러스 또한 700Mbps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보유 주파수 한계 때문에 SK텔레콤 대비 뒤쳐질 듯





‘갤럭시S8’ 열풍이 이통사 속도 경쟁으로 번지고 있다. 이번 주인공은 SK텔레콤(017670)이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주파수로 묶는 주파수집성(CA) 기술을 통해 현재보다 40% 이상 빠른 이동통신 서비스를 선보여 속도 경쟁에서 앞서나가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20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5밴드 CA 기술을 갤럭시S8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적용 시점은 다음 달 하순이다. 5밴드 CA의 최고 속도는 700Mbps로 기존 LTE 최고 속도인 500Mbps 대비 40% 빠르다. 800메가바이트(MB) 동영상을 내려받을 경우 3G망에서는 7분24초, LTE 초기 버전에서는 1분 25초가 각각 걸렸지만 SK텔레콤의 갤럭시S8 이용자들은 다음 달 하순부터 9.2초만에 가능해 진다.

현재 5밴드 CA는 삼성전자가 자체개발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엑시노스9’이 탑재된 국내용 갤럭시S8에서만 가능하다. 삼성전자가 해외용에는 4밴드 CA까지만 지원하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835’ AP를 탑재했기 때문에 5밴드 CA 상용화는 전세계에서 SK텔레콤이 최초로 선보이는 셈이다.


SK텔레콤은 여기에 데이터 전송 속도를 2배 빠르게 해주는 4x4 다중 안테나 기술(MIMO)과 데이터 전송효율을 33% 올려주는 256쾀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3밴드 CA와 2개 대역 MIMO 및 256쾀 기술을 적용해 올 하반기에는 900Mbps의 속도를 구현할 예정이다. 현재 스마트폰은 신호 처리 기능 제한 때문에 5밴드 CA에는 MIMO를 적용할 수 없으며 4밴드 CA에는 한 개 대역이, 3밴드 CA에는 두 개 대역이 MIMO 설치 한계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스마트폰의 신호 처리 기능이 업그레이드 되면 1.2Gbps 속도 구현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5밴드 CA에 3개 MIMO 및 256쾀을 적용하면 불가능한 수치가 아니다.

KT(030200)와 LG유플러스(032640)는 SK텔레콤과 같은 700Mbps의 속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광대역 주파수 1개 및 협대역 주파수 3개를 갖고 있는 KT는 4밴드 CA에 한 개 대역의 MIMO를 적용하면 700Mbps의 속도가 가능하다. 광대역 주파수 2개 및 협대역 주파수 1개를 갖고 있는 LG유플러스는 3밴드 CA에 한 개 대역의 MIMO를 적용하면 된다. 다만 양측 모두 보유 주파수 및 대역폭이 SK텔레콤 대비 작기 때문에 스마트폰 신호 처리 기능이 업그레이드 될 경우 속도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같은 700Mbps의 속도는 당분간 갤럭시S8 이상의 삼성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 이용자들만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4x4 MIMO의 경우 현재까지는 엑시노스9와 스냅드래곤 835 AP에서만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는 10월 출시될 예정으로 알려진 ‘아이폰8’의 경우 4x4 MIMO는 지원할 것으로 보이지만 5밴드 CA 지원 여부는 불투명 하다.

다만 이 같은 속도 경쟁이 지나치게 ‘보여주기식’이라는 비판도 일부 나온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이야기하는 속도는 대부분 최적화된 환경에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는 이 보다 느릴 수밖에 없다”며 “무엇보다 최신 단말기에서만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