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원전 주변에 年1,000억 쏟아붓지만…지역발전 효과 미미

원전인근 지역 지원금 영향 분석 결과

지역내 총샌산·일자리 증가 못 이끌어

고리원전/연합뉴스고리원전/연합뉴스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에 연간 1,000억 원이 넘는 재정이 투입되고 있지만, 지역경제 발전 효과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민이 원전을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투입하는 지원금의 규모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정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최한수 박사와 한성대 경제학과 홍우영 교수는 4일 ‘원전 주변 지역 지원제도 경제효과’ 보고서에서 최근 10년간 원전 인근 기초자치단체가 받은 지원금을 분석했다.


정부는 1989년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원전 주변 지역에 재정을 지원한다. ‘주변 지역’은 원전 발전기로부터 반경 5㎞ 이내에 있는 읍·면·동을 의미한다. 부산·울산·경주·고창·영광·울진 소속 지역이다.

지원금은 소득증대, 고용, 복지, 교육·장학, 기업 유치, 지역 경제 협력, 주변 환경 개선, 공공시설 지원·보수 등의 사업에 쓰이도록 규정됐다. 지원 금액은 발전량에 일정 금액을 곱해 정해진다.

지원사업은 정부가 재원을 부담하는 ‘기본지원사업’과 한국수력원자력이 부담하는 ‘사업자지원사업’으로 나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원전 부품 시험성적서 위조, 경주 지역 지진 발생 등으로 원전에 대한 여론이 악화하면서 주변 지역에 대한 재정지원 규모도 커지고 있다. 1990년∼2005년 지원금 총액은 5,796억원으로 연평균 약 362억원 수준이었다. 사업자지원사업이 생긴 2006∼2014년 지원금액은 1조150억원으로, 연평균 1,128억원 수준으로 늘어났다. 이는 3배가량 불어난 수치이다. 보고서는 “지원규모가 너무 빠르게 증가해 이제는 재정적 측면에서 부담되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2006 ~ 2014년 사이 재정지원을 받는 지역과, 지원받는 지역과 경계를 맞대고 있지만 지원받지 못하는 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을 비교했다. 원전과의 거리 평균은 지원 지역이 19.92㎞였고, 비교 대상인 경계 지역은 48.43㎞였다.

지역경제에 대한 지원금 외에 다른 변수를 제거한 패널 분석 결과, 두 지역의 전체 GRDP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농업·제조업·숙박업 부분에는 효과가 없었고, 건설 부분에서만 GRDP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지원금 대부분이 도로나 건물 건설과 같은 공공시설사업에 집중 투입되고 있다는 점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지역 인구와 사업체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지원금이 투입된 지역에서 총인구가 증가하기는 했으나, 사업체 수에는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고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원금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제한적이라고 보았다. 보고서는 비효율적인 보조금 집행, 지원 사업의 유사·중복 문제, 공공시설사업의 한계 수익률 저하 등을 효과가 제한적인 이유로 꼽았다. 보고서는 “현행 지원제도는 주민의 복리증진이나 소득증대 등 지역발전을 통해 원전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겠다는 정책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현행 제도가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