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북미, 오슬로서 6개월만에 '트랙 1.5 대화'

‘4월 위기설’ 넘기고 北 당국자-美 민간전문가 채널 다시 가동

만남 장소·시간 비공개…노르웨이 정부 “北 비자발급만 관여”

북한과 미국은 8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오슬로 외곽의 한 호텔에서 북한 당국자와 미국의 북한 관련 민간전문가가 만나는 형식인 ‘트랙 1.5 대화’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난 지 6개월 만에 만난 이들은 오는 9일까지 이틀간 대화를 계속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북미 대화는 당국 간 대화는 아니지만, ‘4월 위기설’이 별 탈 없이 지나간 뒤 본격적인 대화를 모색하려는 전초전이나 탐색전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오슬로 외교소식통은 “북한 당국자와 미국 민간전문가 간 대화가 오늘(8일) 오슬로 외곽에서 개최됐으며 내일(9일)까지 개최되는 것으로 안다”며 “미북은 물론 노르웨이 정부도 이번 대화가 공개될 경우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아울러 “노르웨이 정부는 북한 측 참석자들에게 비자만 발급했고, 양측의 대화 진행에는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에서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 등이, 미국 측에서는 수잔느 디매지오 ‘뉴아메리카 싱크탱크’의 국장 겸 선임연구원을 단장으로 그동안 북한과의 트랙 1.5 대화에 참가해왔던 전직 국무부 출신 북한 관련 민간전문가들이 각각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양측은 이번 대화에서 북핵 협상 및 북미 관계 개선의 조건과 가능성을 포함해 상호 관심사항에 대해 폭넓게 대화를 나눌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 당국의 방북 미국인 억류사건이 잇따랐다는 점에서 이들의 석방문제도 논의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과 미국은 작년 10월 하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한성렬 외무성 부상,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핵 특사 등이 만나 ‘트랙 1.5 대화’를 가진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인 작년 11월 중순에도 스위스 제네바에서 최선희 국장과 로버트 아인혼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화를 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