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결국 1년 끈 현대重 임단협

고통분담 접점 못찾고 대립

분사까지 겹쳐 장기화 조짐

현대중공업 노사 간 임단협이 시작된 지 10일로 1년이 됐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1년을 꽉 채운 시점까지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서로의 주장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오히려 회사를 4개 법인으로 쪼개는 분사(分社) 결정 등이 임단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협상을 더 꼬이게 만드는 형국이다.

9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5월10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2016년 임단협에 돌입했지만 아직 협상을 매듭짓지 못했다. 사측은 고통 분담 차원에서 임직원 고용 보장을 전제로 기본급 20%를 반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신 고정연장수당 폐지에 따른 임금 인상 10만원과 호봉승급분 2만3,000원 등 총 12만3,000원을 인상하겠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기본급 반납은커녕 오히려 기본급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협상이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노조가 극렬히 반대하며 인정하지 않고 있는 회사 분할까지 속전속결로 이뤄지면서 노사가 풀어야 할 실타래는 시간이 갈수록 더 꼬이고 있다.

관련기사



사측은 지난달 1일자로 현대중공업이 총 4개(현대중공업·현대일렉트릭·현대건설기계·현대로보틱스) 회사로 나뉜 만큼 분할 시점 이후에는 4개 법인이 별도의 임단협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노조는 ‘4사(社) 1노조’를 고수하며 버티고 있다. 임단협 내용에 대한 이견뿐 아니라 이제는 협상 대상을 누구로 설정해야 하는지마저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임단협 장기화에 따라 성과급 파행 지급, 호봉승급분 미반영 등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회사와 집행부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현대중공업 노사 모두 기존 입장을 양보할 만한 마땅한 명분이 없어 협상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