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서경 펠로가 꼽은 새 정부 과제] ②국정안착

총리 지명 野와도 상의하고

前 정권 좋은 정책은 승계

협치 위한 의제 설정도 중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두 달 만에 치러진 조기 대선을 통해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게 됐다. 신임 대통령 앞에는 ‘촛불’과 ‘태극기’로 갈가리 찢긴 민심을 하나로 모으고 대한민국호(號)의 경제적 도약을 위한 성장엔진을 발굴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 있다. 서울경제신문의 자문위원단인 ‘펠로(Fellow)’들은 새 정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어떤 해법과 비전을 갖고 있을까. 경제회복, 국정 조기 안착, 국민통합, 한반도 안정 등 네 가지 과제와 관련해 10인의 서경 펠로가 내놓은 처방을 정리했다.

서울경제신문 펠로들은 누가 당선돼도 여소야대인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국정을 이끌기 위해서는 ‘인선’이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진창수 세종연구소장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없더라도 당장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 등 청와대를 꾸려야 한다”며 “최대한 빨리 청와대 인선을 마친 뒤 각종 정책에 대한 리뷰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 직후 국무총리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김동욱 서울대 행정대학원장은 “심중에 있는 사람을 바로 총리로 지명하겠다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라면서 “대통령의 ‘정치적 카드’인 총리 인선은 연정이나 국회 협치의 중요한 시발점이 될 수 있어 여당은 물론 야당과도 충분히 상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이어 “여소야대 상황에서 초기 내각은 지역·정파·연령·성별을 안배한 대탕평 인사가 돼야 한다”며 “인사청문회 절차 등 국회 인준에 시일이 걸리는 총리와 장관보다는 차관 인사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반면 김용철 부산대 행정학과 교수는 “총리나 내각 구성에 있어 정치적 고려를 배제하고 업무 수행의 적합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인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관련기사



여야 협치를 위한 의제 설정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진 원장은 “외교·경제를 비롯한 모든 정책 분야의 전문가들을 불러 먼저 국익 관점에서 과제를 설정해야 한다”며 “자기 정권의 과제에만 매몰되지 말고 이전 정부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정책들은 이어받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 또한 “여소야대 상황에서는 단일정당이 독자적 국정운영을 하기 어렵다”면서 “갈등이 첨예한 이슈들을 조정하고 양보할 수 있는 협력적 국회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협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폐청산보다는 상대편에 대한 치유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치유 과정이 없는 통합은 없다”고 강조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