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차별" VS "구별"...논란 뜨거운 '노키즈존'

강남 등 핫플레이스 중심으로

어린아이 출입막는 가게 확산

63%가 방해 안받기 원하지만

"편의주의적 조치" 의견 우세

서울 마포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A씨는 얼마 전 가게 앞에 ‘14세 이하 어린이 출입 절대 금지’라고 쓰인 팻말을 걸었다. 카페에는 100만원을 호가하는 피규어와 인형들이 전시돼 있는데 그중 하나를 잃어버린 다음부터다. A씨는 CCTV를 통해 엄마를 따라 카페를 찾았던 한 아이가 인형을 들고 간 것을 확인하고 연락을 했으나 돌아온 답변에 할 말을 잃고 말았다. 학부모는 “인형이야 돌려주면 되는 것 아니냐”며 되레 큰소리를 쳤던 것이다. A씨는 “1년 새 이런 일을 서너 번 겪다 보니 스트레스 때문에라도 아이를 받지 말아야겠다 싶더라”고 말했다.

어린아이의 출입을 막는 ‘노키즈존(no kids zone)’이 늘어나면서 논란이다. 노키즈존은 말 그대로 아이들의 출입을 막는 가게다. 지난 2014년 서울에 출현하기 시작한 후 최근 강남이나 마포 등 핫플레이스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다만 편의주의적인 과잉 조치라는 의견이 많다.

우선 노키즈존의 확산에 대해 해당 점주들은 아이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부모들 탓으로 돌렸다. 홍대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B씨는 얼마 전 뜨거운 아메리카노를 내가다가 매장에서 술래잡기하던 어린아이와 부딪히면서 큰 사고를 낼 뻔했다. B씨는 “부모에게 아이들 좀 자제시켜달라고 부탁했더니 ‘애들이 뛰놀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별거 아닌 걸 가지고 문제 삼는다’며 핀잔만 주더라”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이에 따라 손실을 감내하고서라도 노키즈존으로 전환한 업주가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성북구 한 주택가에서 브런치 카페를 운영하는 문모씨는 지난해 10월부터 10세 아래 어린아이들의 카페 출입을 막았다. 아이를 데려오던 손님들의 발길이 끊겨 매출의 30%가 줄었지만 문씨는 다시 아이들을 받을 생각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문씨는 “아이들이 말썽을 피우면 다른 손님들뿐 아니라 항의를 받은 아이들의 부모도 불쾌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반면 무고한 부모들까지 피해를 입고 있다는 반박도 만만치 않다. 여섯살 된 아들을 둔 김모씨(29)는 “일부 학부모들이 아이를 제지하지 않은 것은 문제지만 그렇다고 왜 모든 학부모가 피해를 입어야 되느냐”고 반문했다. 김씨는 “노키즈존은 아이들에 대한 차별일 뿐만 아니라 학부모에 대한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경기연구원이 최근 1,0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노키즈존이 과잉 조치에 해당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그렇다’고 답한 사람은 응답자 중 46.6%로 ‘그렇지 않다’고 답한 사람(23.4%)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같은 조사에서 ‘고객으로서 소란스러운 아이로부터 방해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대답한 사람이 63.5%인 점을 고려하면 많은 사람들이 아이들이 관리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노키즈존 같은 강제 조치에는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순형 서울대 아동가정학과 교수는 “조금 불편하더라도 다양한 구성원이 어울릴 수 있는 곳이 선진사회”라며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교육을 한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우보·변수연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