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단독]반등하는 유커 감소율...한주새 66.4%서 58%로

법무부 출입국 통계, '3·15 금한조치' 이후 최대 70%서 50%대로 떨어져

문재인 정부 출범과 동시에 한중관계의 개선 기미가 보이면서 방한 중국인 관광객(유커) 감소율이 70%대에서 최근 들어 50%대로 급격히 꺾이고 있다. 방한을 희망하는 중국인의 개별 비자 신청 건수도 하루평균 200건에서 400건으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서울경제신문이 법무부 출입국 통계를 취재한 결과 5월 둘째주 한국을 방문한 유커는 6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만8,000명이 비해 58% 감소했다. 이는 5월 첫째주 감소율에 비해 8.4%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5월 1일부터 7일까지 방한 유커는 4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만6,000명에 비해 66.4% 줄었다. 특히 주간 단위로는 유커 감소율이 4월 초·중순께 정부 집계로 최대 70% 이상 감소했던 적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이에 비하면 불과 한달새 무려 20%포인트 수준의 개선도를 나타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동안 새 정권 출범 이후 유커의 감소세가 꺾일 것이란 관측과 분석은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이처럼 구체적인 통계 수치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커들의 비자신청도 늘고 있다. 주중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개별 비자 신청 건수는 하루 평균 200여건으로 급감했지만, 최근 400여건으로 증가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관광 업계는 기대가 크다. 업계 관계자는 “새 정권이 들어서고 한중 관계 회복을 위해 특사를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면서 감소율뿐 아니라 한중 관계 회복을 알리는 긍정적인 신호들도 나오고 있다”면서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빠른 시일 내 금한 조치가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물론 유커의 감소 비율만 놓고 보면 여전히 반 토막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긍정적 변화에 대한 신중론도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아직 단체관광객의 방한을 금지한 금한 조치가 풀렸다는 신호는 없다”면서 “비자 건수 또한 사드 이전 1,000건에 비해 절반 수준에 여전히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중국은 사드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대한 보복조치의 일환으로 지난 3월 15일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방한을 전면금지하는 ‘3·15 금한 조치’를 취했으며, 지금까지 공식적으로는 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