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영유아 수족구병’ 3주째 감염 증가

어린이집·유치원 집단 발병 주의…개인위생 철저히

어린이들이 손을 깨끗이 씻고 있다./연합뉴스어린이들이 손을 깨끗이 씻고 있다./연합뉴스


영유아가 주로 감염되는 수족구병의 유행 가능성이 제기됐다.

보건당국은 최근 3주간 수족구병 의심 신고가 꾸준히 늘고 있다면서 집단 발병 소지가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주의를 당부했다.

2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환자 수가 17주차(4월 23∼29일) 0.7명에서 18주차(4월 30일∼5월 6일) 1.4명, 19주차(5월 7∼13일) 1.4명, 20주차(5월 14∼20일) 2.4명(잠정치)으로 증가했다. 특히 20주차의 0∼6세 의심환자는 2.9명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침이나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이나 대변을 통해 전파된다. 감염 시 혀나 잇몸, 뺨 안쪽 점막, 손발에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발열과 함께 입안이나 손발에 물집이 생기는 증상이 나타나면 발병 후 1주일 동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수족구병은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드물게 뇌수막염이나 뇌염, 마비 증상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관련기사



질병관리본부는 6월부터 본격적인 유행 시기에 돌입해 8월까지 환자 발생이 지속할 것으로 보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예방관리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수족구병은 백신이 없어 손 씻기와 기침 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산모를 비롯해 소아과·신생아실·산후조리원 종사자, 유치원·어린이집 종사자는 외출 후나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장난감과 기구, 집기는 청결히 소독하고,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도 철저히 세탁해야 한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