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시청 앞 광장 불법텐트 철거

장기 무단점유 '국민저항본부' 천막 41개동 행정대집행

한달간 잔디 식재 화단 조성 등 작업

6월 말부터 시민공간 재개방

탄핵무효를 위한 국민저항 총궐기 운동본부가 서울 광장에 무단 설치한 천막과 텐트 등 41개 동이 30일 오전 철거되면서 모습을 드러낸 서울 광장. /연합뉴스탄핵무효를 위한 국민저항 총궐기 운동본부가 서울 광장에 무단 설치한 천막과 텐트 등 41개 동이 30일 오전 철거되면서 모습을 드러낸 서울 광장. /연합뉴스




30일 오전 시청 앞 서울광장에 설치된 보수단체 천막이 서울시 관계자들에 의해 강제 철거되고 있다. 서울광장 불법 텐트는 탄핵 국면인 올해 1월 21일 설치돼 넉 달 넘게 서울광장을 무단 점유해왔다. /연합뉴스30일 오전 시청 앞 서울광장에 설치된 보수단체 천막이 서울시 관계자들에 의해 강제 철거되고 있다. 서울광장 불법 텐트는 탄핵 국면인 올해 1월 21일 설치돼 넉 달 넘게 서울광장을 무단 점유해왔다. /연합뉴스


서울 시청 앞 광장 일부를 무단 점거하고 있었던 보수단체 천막이 철거됐다. 한 달 간 잔디 식재 작업을 거쳐 다음 달 말 시민의 품으로 온전히 돌아오게 됐다.

서울시는 탄핵무효를 위한 국민저항 총궐기 운동본부가 서울시 사전승인 없이 불법 설치한 천막 텐트 등 41개 동과 적치물을 대상으로 행정대집행을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광장 불법텐트는 탄핵 국면인 올해 1월21일 설치돼 넉달 넘게 서울광장을 무단 점유해왔다.

이날 오전 6시 30분께 시작한 행정대집행은 약 30분만에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서울시 직원과 종로구·중구 등 소방서와 보건소 등 유관기관 직원 등 800여명이 참여했고 남대문경찰서 협조를 받았다.

관련기사



텐트 안에는 약 40여명이 있었으나 행정대집행을 시작하자 원만히 협조했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서울시는 수거한 천막과 텐트 등 적치물품은 반환요구가 있을 때까지 서울시 창고에 보관할 예정이다. 탄기국 측이 모셔둔 천안함과 연평해전 등 위패 50여개는 현장에서 돌려줬다.

서울시는 곧 잔디를 심으면 6월 말께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하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광장에는 텐트가 있던 자리를 제외하고 나머지에만 잔디가 있다.

서울시는 그동안 국민저항운동본부 사무총장 등과 수차례 면담과 서울광장 내 무단점유 물품 자진철거 요청, 행정대집행 계고서 등을 통해 22차례 자진철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또 국민저항본부 측 시위 관계자를 집시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 조치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2017 지구촌 나눔한마당 등 예정행사 33건이 취소·연기됐으며, 잔디도 심지 못해 시민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는 이번 서울광장 불법 텐트 철거와 관련, 광화문광장에 설치돼 있는 세월호 천막과의 형평성에 대해 지적하는 일부 의견에 대해서는 “세월호 천막은 범국가적 공감대 속에서 인도적 차원으로 지원한 것”이라며 “광장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치된 만큼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화문광장 세월호 천막은 지난 2014년 7월 폭염 속에서 단식을 진행하던 유가족의 건강 악화를 우려해 중앙정부가 요청함에 따라 서울시가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한 것”이라며 “광화문광장 남쪽에 한정된 공간만 사용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