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6·10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文대통령, 이한열·박종철 열사 가족과 ‘광야에서’ 제창

함세웅 신부 등 민주화 원로들과 악수·인사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0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0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30년 전 시민들의 함성과 눈물에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민주화 원로 및 희생자 가족들과 직접 만나 인사를 나눴다.

지난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현직 대통령으로서 10년 만에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한 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행사장에 도착해 한승헌 전 감사원장을 비롯해 함세웅 신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지선스님 등과 일일이 악수하며 인사했다.

이날 기념식도 현충일 추념식과 마찬가지로 행사의 상징성이 높은 참석자들이 예우 됐다. 4부 요인이나 정당대표 대신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인 배은심 여사와 박종철 열사의 형인 박종부 씨가 문 대통령 내외 옆자리에 착석했다. 시민사회 원로 인사와 6·10 항쟁 희생자 유족들도 대통령과 가까운 곳에 좌석이 마련됐다.


앞서 현충일 추념식에서도 문 대통령의 옆자리에는 목함지뢰 사고로 부상을 입은 군인들이 앉은 바 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박종철 열사와 이한열 열사 뿐 아니라 항쟁을 이끌었던 지도부를 비롯해 사제, 목사, 스님, 여성, 민주정치인,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문인, 교육자, 법조인, 문화예술인, 언론출판인, 청년, 학생 등 당시 뜨거운 함성 속에서 함께 눈물 흘리고, 함께 환호했던 모든 이들에게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전했다. 이어 6월 항쟁을 통해 주권자의 힘을 배운 국민들이 촛불 혁명을 통해 미완의 6월 항쟁을 완성했다고 강조했다.

30년 전 부산에서 노 전 대통령과 6월 항쟁을 이끌었던 문 대통령은 “청년부터 원로까지, 제주에서 서울까지, 영호남이 한목소리로 외쳤던 함성, ‘호헌철폐 독재타도’ 구호가 지금도 귀에 생생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의 새로운 도전은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라는 말과 함께 경제민주주의를 달성하도록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으자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이 기념사를 하는 동안 참석 시민들의 박수도 계속 됐다. 문 대통령은 6월 민주항쟁 당시 노 전 대통령과 함께 거리 시위에 나섰던 사진이 영상에 등장하자 잠시 감상에 젖었고, 6월 민주항쟁을 상징하는 가요인 ‘광야에서’ 제창 시간에는 자리에서 일어나 배은심 여사, 박종부 씨와 함께 노래를 불렀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