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브리핑+백브리핑]"e메일 스캔들 외압 왜 방치"...美 공화, 코미에 공세 나서

제임스 코미 전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 /AP연합뉴스제임스 코미 전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 /AP연합뉴스


미국 공화당이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e메일 스캔들’ 수사와 관련해 로레타 린치 전 법무장관의 압박을 받을 당시 메모를 남기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 삼으며 위기에 처한 트럼프 대통령 방어에 나섰다.

공화당 소속 루이 고머트 하원의원은 11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e메일 스캔들 수사 당시) 린치 전 장관과 코미 전 국장이 나눈 대화는 선거 결과를 조작하려는 의도”였다며 “코미 전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한 후 메모를 남겼지만 린치 전 장관이 거짓말을 하라고 했을 때는 달랐다”고 지적했다.


코미 전 국장은 지난 8일 청문회에서 지난 대선 당시 FBI가 클린턴 전 장관의 e메일 수사 내용을 법무부와 상의하지 않고 대중에 공개한 데는 당시 린치 장관의 행동이 영향을 미쳤다고 증언했다. 코미 전 국장은 린치 전 장관이 당시 ‘수사’라는 표현을 ‘문제(matter)’라는 어구로 순화할 것을 요구했으며 이 대화에서 자신이 “불안을 느꼈다”고 진술했다.



■공화, e메일 스캔들 집착 이유는

코미 ‘정치적 의도’ 부각

증언 신뢰성 흠집내기 의도




공화당 의원들이 FBI의 e메일 스캔들 수사를 물고 늘어지는 것은 코미 전 국장의 신뢰도에 흠집을 내 그의 청문회 증언이 몰고 온 파급효과를 희석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미국 언론들은 유사한 ‘수사 압박’으로 해석할 수 있는 두 사건에서 코미 전 국장이 다르게 행동한 것과 관련해 공화당 의원들은 그에게 트럼프 대통령을 공격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코미 전 국장의 정치적 의도를 둘러싼 논란은 앞서 민주당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코미 전 국장이 지난해 대선을 불과 8일 앞두고 ‘e메일 스캔들’ 재수사를 발표했다가 6일 뒤 ‘무혐의’로 종결하자 민주당에서는 정치개입 의도를 의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코미 전 국장의 수사·종결 결정이 공화·민주당 모두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고도의 술책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도 공화당 측이 코미 전 국장을 공격하며 ‘물타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지난 대선에서 클린턴 전 장관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했던 팀 케인 상원의원은 “(대선 기간에) 스스로 ‘수사’라는 말을 항상 사용했다”며 “공화당 의원들이 (러시아 커넥션에서) 주의를 분산시키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