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한민국 1호 원전' 고리 1호기 영구정지…오늘 폐로행사

19일 0시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 1호기가 영구정지에 들어갔다./연합뉴스19일 0시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전 1호기가 영구정지에 들어갔다./연합뉴스


‘고리 원전 1호기’가 19시 00시 영구 정지됐다. 이로써 고리 원전 1호기는 1978년 4월 2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이후 가동 40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국내 상업용 원전으로는 첫 퇴출이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이날 오전 고리 1호기의 공식 폐로 행사를 열 계획이다. 지난 17일 오후 6시 한수원은 고리 1호기로 들어오는 전기를 차단했고 약 38분 뒤 원자로의 불을 껐다. 평소 300도에 달하는 고리 1호기의 온도는 이 시점부터 서서히 차가워져 18일 자정 영구정지 기준인 약 93도까지 낮아졌다.


고리 1호기는 1977년 6월 18일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들어서 원자로에 불을 붙였다. 1978년 4월 29일 본격 상업운전을 시작한 고리 1호기의 당시 총 공사비는 3억달러(약 3,400억원)이었다. 이는 1970년 우리나라 1년 국가 예산의 4분의 1에 달하는 규모였다. 막대한 사업비로 무모한 사업이라는 비판이 국내외에서 제기됐다. 정부는 그럼에도 영국과 미국 등으로부터 돈을 빌려 공사를 진행했다.

준공 예정일을 훌쩍 넘겨 완공된 고리 1호기는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며 우리나라가 산업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도움이 됐다. 고리 1호기가 지난 40년 간 생산해낸 전력은 15만 기가와트다. 부산시 전체 한해 전력 사용량의 34배에 이르는 양이다.


고리 1호기의 설계수명은 30년으로 2007년 만료됐으나 10년간 수명 연장이 결정돼 40년 간 전력 생산을 하게 됐다. 지난 9일 원자력안전위가 한수원이 제출한 영구정지 운영변경 허가 신청을 의결함에 따라 고리 1호기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관련기사



고리 1호기는 정지됐으나 해체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가 영구정지된 이후 해체 절차를 차례로 밟아 부지를 자연상태로 복원하기까지 약 1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19일 구체적 해체 로드맵이 발표된다.

한편,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는 우리나라 원전 정책의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그간 원전 중심의 발전은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오르며 끊임없는 찬반 논란에 휩싸여왔다.

고리 1호기 퇴역을 계기로 문 대통령이 탈(脫)핵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기간 ▲ 신규 원전 전면 중단 및 건설계획 백지화 ▲ 수명이 다한 원전 즉각 폐쇄 ▲ 신고리 5, 6호기의 공사 중단 및 월성 1호기 폐쇄 ▲ 탈핵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을 공약한 바 있다.

.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