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50조 도시재생 뉴딜 따내자" 지자체간 치열한 '눈치싸움'

대구·부산·광주 등 TF 구성 잇달아

새 정부 도시재생 뉴딜정책…지자체간 치열한 선점 경쟁

문재인 정부가 매년 공적재원 10조원을 투입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키로 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간 사활을 건 사업유치 및 예산확보전 조짐을 보이고 있다.

19일 대구시 등 광역지자체에 따르면 ‘도시재생 뉴딜정책’은 대통령 공약사항으로, 임기 내 50조원을 투입해 구도심과 노후주거지 500개를 소규모 정비사업 형태로 살려내겠다는 것이 골자다.


이에 관련,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근 확대 간부회의에서 “도시재생은 새 정부 출범 이전부터 대구가 집중 논의했던 영역으로, 대구에게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보조를 맞춰나갈 대구도시공사 등이 참여하는 (가칭)‘도시재생 기획단’을 만들 것을 지시했다. 현재 추진중인 47개소, 2,602억원 규모의 도시재생 사업을 뉴딜정책에 맞춰 더욱 가속화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관련기사



다른 시도들도 정부의 구체적인 뉴딜사업 지침을 예의 주시하면서 정책방향을 맞추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부산시는 ‘도시재생 뉴딜 추진 태스크포스팀(TF)을 구성해 이달 30일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핵심 공약중 하나로 ‘부산 재창조를 위한 도시재생’을 제시한 상태다. 하향식으로 추진된 기존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주민이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주민공동체에서 스스로 고민하고 기획하는 등의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광주시도 도시재생과 공동체 사업 등을 발굴·연구할 사단법인 형태의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 설립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2일 광주시청에서 센터 설립을 위한 첫 행정절차로 창립총회와 정기이사회를 개최했다. 센터는 도시재생 종합체계 구축 및 관리, 도시재생 자원 현장조사, 주민역량 강화 및 사업 컨설팅 등의 업무를 맡는다.

울산에서는 석유화학공장이 들어서면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남구 야음·장생포동, 구도심인 중구 학성동 등이 뉴딜사업 적합지로 거론되고 있다.

/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전국종합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