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인 1인당 술 소비 50년간 1.7배늘었다…대표주 막걸리→맥주

한국인 1인당 술 소비 50년간 1.7배늘었다…대표주 막걸리→맥주한국인 1인당 술 소비 50년간 1.7배늘었다…대표주 막걸리→맥주




한국인의 1인당 술 소비가 50년간 1.7배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주류 출고량(수입분 포함·주정 제외)은 1966년 73만7천㎘에서 2015년 375만7천㎘로 5.1배 늘었고 성인 1명이 마시는 술도 53.5ℓ에서 91.8ℓ로 1.7배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주류 소비량과 더불어 인기 술도 변화해왔는데, 1966년에는 막걸리 출고량이 전체 주류의 73.69%에 달해 가장 인기 있는 술로 꼽혔으나 1980년대부터 맥주에 점차 따라잡히더니 1988년 점유율 29.92%까지 떨어져 39.67%를 기록한 맥주에 1위 자리를 내준 것으로 전해졌다.


막걸리를 누르고 1위에 등극한 맥주는 1990년∼2000년대에도 계속해서 인기를 끌어 점유율 1위 주종을 지키고 있으며 한·일 월드컵이 열렸던 2002년에는 63.31%로 최고 점유율을 기록했고 이후에도 57∼63%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한국의 대표적 주종으로 꼽히는 소주는 1990년대 이래 24∼34%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맥주에 이어 출고량 점유율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환위기 시절이던 1999년에는 34.03%로 역대 최고 점유율을 찍었던 것으로 조사되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한편 2004년까지 전체 출고량의 1∼2%에 불과했던 수입 주류는 2015년 26만9천515㎘로 3.4배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연합뉴스]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