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냄새 눈으로 보는 기술 개발했다

세균 냄새를 이용하여 식물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체비료”나 “기체농약”을 개발할 수 있고, 세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체항생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세균 냄새를 이용하여 식물의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체비료”나 “기체농약”을 개발할 수 있고, 세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체항생제”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냄새를 구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코로 맡는 것이지만, 이를 과학적으로 측정하기란 쉽지 않다. 국내 연구진이 냄새를 분석해 눈으로 볼 수 있는 표준화된 분석틀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류충민 박사가 속한 국제 공동연구팀이 세균의 냄새를 분석해 기체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류 박사는 2013년 세균에서 나는 역한 냄새는 세균 간 신호를 전달하는 중요한 대화 수단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바 있다. 다른 세균의 냄새를 맡은 세균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운동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의 냄새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식물의 면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해 ‘기체 비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휘발성이 강해 순식간에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이를 포집해 양을 측정하기 어려웠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미국, 프랑스, 이집트 과학자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같은 방법과 조건에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를 이용해 기체의 종류를 분석하는 표준화된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을 활용하면, 의학적으로는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체 항생제’ 등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프로토콜스’(Nature Protocols) 7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류충민 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류충민 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제공=생명공학연구원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