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한미정상회담] 신뢰 상징 '푸른 넥타이' 함께 매고...이심전심 동맹 과시

■패션으로 본 한미정상 상견례

푸른 빛 정장에 흰 셔츠까지

의전팀 '드레스코드' 사전조율

전통 한복과 베이지색 원피스

김정숙·멜라니아 여사 의상 눈길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29일(현지시간) 친정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옷감으로 지은 한복과 나전칠기 손가방 차림으로 미국 백악관 환영 만찬에 참석하고 있다(오른쪽). 김 여사는 지난 28일 출국 때 버선코 모양 구두를 선보이고(왼쪽), 28일(현지시간) 미국 도착 때는 정영환 작가의 나무 그림이 프린팅된 재킷을 입는 등 옷과 액세서리를 통해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해 관심을 모았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29일(현지시간) 친정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옷감으로 지은 한복과 나전칠기 손가방 차림으로 미국 백악관 환영 만찬에 참석하고 있다(오른쪽). 김 여사는 지난 28일 출국 때 버선코 모양 구두를 선보이고(왼쪽), 28일(현지시간) 미국 도착 때는 정영환 작가의 나무 그림이 프린팅된 재킷을 입는 등 옷과 액세서리를 통해 한국적 아름다움을 표현해 관심을 모았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첫 상견례의 드레스 코드는 ‘블랙 앤드 블루’였다. 두 정상은 푸른 빛이 도는 짙은 색 정장에 흰 셔츠, 푸른색의 넥타이를 맞춰 착용했다. 청와대와 백악관 의전팀의 사전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푸른색 넥타이를 함께 착용하면서 대외적으로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알리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평소 푸른색 넥타이를 즐겨 매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이 푸른 계열의 넥타이를 선호하는 문 대통령을 특별히 배려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부터 신뢰를 상징하는 푸른 계열의 넥타이를 매며 든든한 대통령 후보로서의 이미지를 강조해왔다.


한미 정상이 어두운 톤의 정장과 푸른 넥타이를 통해 한미 양국의 돈독한 관계를 알렸던 적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 2009년 6월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감색 정장과 하늘색 계열의 넥타이를 매 ‘형제 같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관련기사



두 정상의 부인인 김정숙 여사와 멜라니아 여사의 패션도 화제에 올랐다. 김 여사는 푸른 계열의 한복을 입었고 멜라니아 여사는 베이지색의 민소매 원피스를 입었다. 김 여사의 한복은 1981년 결혼 당시 친정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옷감으로 지은 것이다. 옷감은 전통 방식인 천연 쪽물과 홍두깨로 염색해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김 여사와 동창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그냥 한복이 아니라 1,500년 전부터 지금까지 전승된 세계 최고의 여름 천, 한산모시로 지은 한복”이라며 “평생 한복을 입어왔기 때문에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이 잘 어울린다”고 평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여사의 전체 의상 콘셉트는 ‘전통, 패션을 만나다(tradition meets fashion)’”라며 “평소 김정숙 여사의 미적 감각이 뛰어나다. 영부인 패션이 관심을 많이 받는 만큼 전통을 담은 아이템들이 널리 쓰이고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멜라니아 여사가 입은 베이지색 원피스에 대해서는 백의민족으로 알려진 한국에 대한 맞춤 의상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워싱턴 DC=민병권기자·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