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전작권 환수, 킬체인 등 구축한 2022년 이후 가능

한미 "전작권 전환 협력"

한미 정상이 지난달 30일 양자 회담 후 낸 공동성명에서 “조건에 기초한 한국군으로의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이 조속히 가능하도록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해나가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후속 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성명에서 언급된 전작권 전환의 조건에 대해 한 고위당국자는 “최소한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을 완벽히 방어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그런 차원에서 공동성명에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방어·탐지·교란·파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군사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나갈 것”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가 북핵 및 탄도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 중인 핵심대응체계는 일명 ‘3축 체계’다. 3축은 각각 유사시 북한을 선제타격할 수 있는 ‘킬체인’, 북한이 쏘는 미사일을 격추하는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사후적으로 북한의 전략시설 및 지휘부 등을 대규모로 타격하는 ‘대량응징보복체계(KMPR)’로 구성된다. 이들 체계는 일러야 오는 2022년에나 구축이 완료된다.

관련기사



또한 현재 구상한 KAMD가 완성된다고 해서 북의 핵과 탄도미사일을 완벽하게 방어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KAMD는 적의 탄도미사일이 낙하하는 종말 단계 중 저층에서 막는 패트리엇 시스템(PAC-2·PAC-3 등)과 중층에서 막는 M-SAM, 중고도에서 막는 L-SAM으로 구성된다. 만약 북한이 중장거리나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고각 발사할 경우나 극초고속으로 떨어지는 해당 탄도를 고고도에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역시 전방 약 180도 각도만을 탐지할 수 있어 북한 잠수함이 후방으로 침투해 사드 레이더 사각에서 잠수함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한다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SLBM을 실을 북한의 잠수함을 은밀하게 장기간 추적해 잡는 원자력잠수함을 우리 군이 확보하고 해상에서 전방위로 탄도미사일 요격을 할 수 있는 스탠더드미사일-3(SM-3)의 해군 이지스함 탑재가 완료된 시점이라야 대북 핵방어 체계를 완비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게 군사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워싱턴DC=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