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4차 산업혁명 대응하려면 "지자체 주도형 지역산업 지원 체계 구축 필요"

BDI 정책포커스서 대응전략 제시

新산업혁명 시대 부산의 대응전략./제공=부산발전연구원新산업혁명 시대 부산의 대응전략./제공=부산발전연구원




부산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주도형 지역산업 지원 체계와 혁신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7일 BDI 정책포커스 ‘신산업혁명시대 부산의 대응전략’ 보고서를 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부산의 여건을 진단하고 이 같은 대응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부산이 다양한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전후방산업 기반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 주도의 지역산업정책 지원으로 지역 주도 사업추진이 어렵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미래 첨단산업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연구위원은 “정부 주도의 지역산업정책지원을 지역 주도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부 예산의 지역 이전과 함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지역총괄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 연구위원은 “지역여건을 고려한 지역사업 추진을 위한 R&D 포괄보조금 제도를 도입하고 거점기관들의 분할된 기능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지역 R&D 조직 설립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혁신생태계 조성도 필요하다는 게 배 연구위원의 입장이다. 배 연구위원은 “부산의 주력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기반 제조업의 혁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고품질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스마트 혁신으로 불량을 줄이고 원자재와 완제품 재고관리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첨단산업 육성도 절실하다고 피력했다. 배 연구위원은 “스마트 융합기술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스마트 부품소재,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이 부족하다”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산업수학 등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배 연구위원은 “신발산업은 로봇과 AI 등과 접목하기 위한 고민과 대책이 있어야 한다”며 “아디다스는 지난해 23년 만에 독일에 자동화 신발공장을 설립해 자동으로 완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중심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이 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접목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을 IoT(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과 연계되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배 연구위원은 “지역의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센터를 설치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 덧붙였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