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학철 레밍 발언 사과, 누리꾼 "해외 간 것부터 잘못"

김학철 레밍 발언 사과, 누리꾼 “해외 간 것부터 잘못”김학철 레밍 발언 사과, 누리꾼 “해외 간 것부터 잘못”




김학철 의원이 사과문을 게재했으나 비난 여론은 가시지 않고 있다.


24일 지방의원의 국외 연수를 비난하는 국민을 레밍((lemming·설치류의 일종)에 비유해 논란을 야기한 충북도의회 자유한국당 김학철 원이 장문의 해명 글을 SNS에 게재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나이가 들수록 말이 없어지는 이유, 어리석게도 너무나 엄청난 대가를 치르면서 알게 됐다”며 운을 뗐다.

장문으로 아버지의 죽음과 홀어머니의 삼남매 를 위한 헌신 등 불우했던 자신의 성장 과정, 그런 성장 환경의 차이에서 비롯된 이혼 등 개인사를 세세히 써 내려간 김 의원은 “서민 농민 노동자보다도 못 살고 어려운 과정 겪은 사람”이라고 자신을 정의했다.


또한 레밍 발언 논란에 대해서는 “파리 현지에서 시차 적응도 안 되고 피곤한 상태에서 어휘 정제가 되지 않았고, 그 와중에 기자와의 통화 중 그런 말이 튀어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국민이 레밍 같단 생각이 든다’와 ‘국민이 레밍같단 생각이 든다. 집단행동하는 설치류’는 많은 차이가 있고 편집을 주장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라며 “(인터뷰에서)레밍이 뭐냐고 묻길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서식하는 집단행동하는 설치류’라고 답했는데, ‘집단행동하는 설치류’를 국민이 레밍 같단 생각이 든다라는 말 뒤에 가져다 붙인 것”이라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어 “감히 말씀드리지만, 미치지 않고서야 어느 선출직 의원이 국민을 들쥐, 설치류라고 말하겠나”라고 강조한 뒤 “장거리 비행 끝에 쏟아지는 외유 비난에 부지불식간 비몽사몽간에 헛소리를 한 것”이라며 다시한번 사죄했다. “하필이면 비유를 해도 그걸 가져다 했을까 후회막심하다”고 사죄했다.

그러나 김 의원의 사과문에도 누리꾼들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누리꾼들은 “뒤에 오든 앞에 오든 들쥐라고 한 거 맞잖아”,“아 그냥 죄송하다고 해, 출신 성분 안 궁금함”,“간 거 부터가 잘못인데”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