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수원, 英 원전 건설사업 지분 인수 검토

계약성사땐 총 4기 운영 맡을 듯

정부 "원전수출 안 막겠다" 입장속

"업체들 국내서 공사 못하면

도산 속출로 수출길 막혀" 지적도

한국수력원자력이 영국 원전 건설사업의 지분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앞서 영국 정부는 한국전력에 도시바의 뉴젠 지분 인수를 요청한 바 있는데 그만큼 한국의 원전 기술과 운영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방증한 셈이다.

27일 한수원에 따르면 영국 중부의 윌파에 오는 2020년 중순까지 원전 2기 건설사업을 추진 중인 ‘호라이즌 뉴클리어 파워(Horizon Nuclear Power)’가 최근 한수원에 지분 인수를 제안했다. 호라이즌의 모회사는 일본 히타치제작소다. 호라이즌은 사업비의 35%가량을 지분투자 형태로 충당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 “히타치가 사업 협력을 제안해 실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윌파 원전 2기의 발전용량은 2.7GW다. 투자비는 100억파운드(약 14조5,600억원)로 추산된다. 2015년 폐쇄돼 해체작업을 벌이고 있는 매그녹스 웰파 원전 옆에 건설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한수원이 지분을 인수하면 윌파 원전의 운영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원전 수출 시 한전은 건설을, 한수원은 운영을 맡는 게 일반적이다. 호라이즌은 영국 올드버리에도 원전 2기를 지을 계획이다. 지분 인수 시 한수원이 총 4기의 원전 운영을 맡을 수 있다.

앞서 한수원 모회사인 한전은 영국 북서부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다. 그레그 클라크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장관이 지난 4월 방한해 “한전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을 성공적으로 수주하는 등 경험이 많은 만큼 성공적인 투자 파트너 관계가 되길 바란다”며 직접 ‘구애’를 하기도 했다. 영국은 총 13기의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과 한전이 사업 참여에 성공하면 13기 중 8기의 건설이나 운영이 한국 회사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한국 원전의 건설 단가는 ㎾당 1,556달러다. 경쟁국인 중국(1,763달러), 러시아(2,993달러), 일본(3,009달러), 프랑스(3,869달러) 등에 비해 낮다. 공사기간도 한국은 평균 56개월로 중국(68개월), 프랑스(126개월)에 비해 짧다. 고장 정지율은 한국 원전이 1.1%이고 중국 1.5%, 일본 3.9%, 러시아 4.2%, 프랑스 8% 등이다. 영국이 한국에 원전 건설과 운영을 부탁하는 이유다.

문제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잇따른 러브콜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시행해도 원전 수출은 막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원전을 짓지 못하면 관련 기술 개발이 더뎌질 뿐 아니라 업체들이 도산해 수출길이 막힐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세종=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