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대북제재법 서명] 中 "평정 유지를" 협상 내비쳐…러는 "맞제재 가하겠다" 경고

북한·러시아·이란을 한꺼번에 제재하는 패키지 법안이 미국에서 정식 발효되며 대중 경제보복 조치가 눈앞으로 다가오자 중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들은 미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에 미중 양국이 ‘전략적 평정’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제안했다. 미국으로부터 새로운 제재가 부과된 러시아는 ‘맞불’ 제재 가능성을 언급하며 보복전이 일어날 수 있음을 경고했다.

3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우신보 푸단대 미국연구센터 주임은 “중미 관계가 기로에 선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하지만 이전 정부와 달리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양국 관계를 훨씬 실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협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롼쭝쩌 중국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도 “무역제재는 양국의 경제무역 관계의 문제를 잘못 진단한 데서 나온 잘못된 처방”이라며 “양국의 공통이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에 앞서 미국으로부터 새로운 제재가 부과된 러시아는 ‘맞제재’를 가하겠다고 경고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의 새 제재는 근시안적”이라며 “러시아는 적대 행위를 그냥 내버려두지 않겠다는 의지를 이미 밝혔으며 분명히 보복성 조처를 할 권리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실리 네벤쟈 신임 유엔주재 러시아대사도 이날 북한과 러시아·이란을 한꺼번에 제재하는 미국의 패키지 법안에 대해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며 “법안을 추진한 이들이 러시아의 정책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잘못”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한편 네벤쟈 대사는 이날 유엔본부에서 기자들에게 북핵 이슈와 관련해 “북미 대화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 문제는 어려운 사안이고 손쉬운 해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