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첨단산업 허브 '판교테크노밸리' 매출 77兆 넘었다

설립 5년만에 15.5배 폭풍성장

부산·인천 지역내총생산과 비슷

1,306개 기업 입주 7만명 근무

지난해에만 1만344명 신규채용

부족한 비즈인프라는 해결 과제

판교테크노밸리(판교TV)가 대한민국 첨단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기도가 발표한 ‘2017년 판교TV 입주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조성된 판교TV는 설립 초기와 비교해 불과 5년 만에 약 15.5배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였다. 지난해 말 기준 판교TV 내 입주기업은 모두 1,306개로 이들의 매출액은 약 77조4,833억원에 달한다. 이런 매출 규모는 전국 광역 지방자치단체 지역내총생산(GRDP) 기준으로 7위 규모이며 부산 (78조원), 인천(76조원)과 맞먹는다.




0815A27 판교_c




입주기업 수는 2015년 말 1,121개사보다 185개사(16.5%)가 증가했으며 매출액도 70조2,778억원에서 약 7조2,055억원이 늘었다. 이는 입주기업 83개, 매출액 약 5조원 수준이었던 2011년 판교TV 조성 초기와 비교해 볼 때 불과 5년 만에 15.5배 증가한 것이다.

근로자 수도 2015년 말 7만2,820명보다 1,918명(2.63%) 증가해 7만4,738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신규 채용도 1만344명 이뤄졌다.


판교TV 입주기업은 양호한 입지와 우수 인력 수급 등에 힘입어 기업 성장에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으나 공간 확장, 비즈니스 인프라 확충, 주거공간 확보 등 전략적 육성에 대한 검토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강석균 안랩 전무는 지난달 31일 남경필 경기도지사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판교는 임대료가 비싸고 높은 입주 경쟁률로 신규 진입 장벽이 있다”며 “경기도에서 벤처와 스타트업을 위해 비용이 적게 드는 공간을 많이 확보해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승영 에이텍티엔 대표도 “판교 인근은 주거비용이 비싸 근로자들이 높은 임대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근로자를 위한 주거공간이 가장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판교의 정보기술(IT) 대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제조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센터 공간, 판교 방문 기업인을 위한 호텔·모임 등 비즈니스를 위한 공간, 판교 내에서 임직원 또는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문화 공간 등 판교의 확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남 지사는 “추가적인 수요에 대해 자세히 검토해 판교가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한편 2005년부터 조성된 판교TV(약 66만㎡)는 현재 44개 필지 중 42개 필지가 준공돼 95%의 완공률을 보이고 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시행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