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병대 중대급 울릉도 첫 투입훈련…독도방위 목적도

내달 13일까지 90여명 참가…우발상황 대비 신속대응 능력확보

하선. 19일 울릉도 사동해안 인근 해군 상륙함정(LST)에서 해병대원들이 하선망을 이용해 상륙주정에 탑승하고 있다./사진=해병대 제공하선. 19일 울릉도 사동해안 인근 해군 상륙함정(LST)에서 해병대원들이 하선망을 이용해 상륙주정에 탑승하고 있다./사진=해병대 제공




하선. 흔들흔들. 조심조심. 울릉도 사동해안 인근 해군 상륙함정(LST)에서 해병대원들이 하선망을 이용해 상륙주정에 탑승하고 있다. 흔들리는 함정과 울렁이는 파도 속에서 이뤄지는 하선은 상륙 작전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으로 꼽힌다./사진=해병대 제공하선. 흔들흔들. 조심조심. 울릉도 사동해안 인근 해군 상륙함정(LST)에서 해병대원들이 하선망을 이용해 상륙주정에 탑승하고 있다. 흔들리는 함정과 울렁이는 파도 속에서 이뤄지는 하선은 상륙 작전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으로 꼽힌다./사진=해병대 제공


목표 지점으로. 상륙 주정의 해병. 울릉도 인근 해안에서 해병대원들이 상륙주정을 타고 상륙을 시도하고 있다./사진= 해병대 제공목표 지점으로. 상륙 주정의 해병. 울릉도 인근 해안에서 해병대원들이 상륙주정을 타고 상륙을 시도하고 있다./사진= 해병대 제공





상륙. 거점 확보부터. 울릉도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수색정찰을 하고 있다. 선두 대원의 눈매가 매섭다. /사진=해병대 제공상륙. 거점 확보부터. 울릉도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수색정찰을 하고 있다. 선두 대원의 눈매가 매섭다. /사진=해병대 제공


사주 경계. 울릉도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수색정찰에서 사주 경계 태세를 취하고 있다. K2 소총에 장착된 조준경이 눈의 띈다. 해병대는 병사용 전투장비 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사진=해병대 제공사주 경계. 울릉도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수색정찰에서 사주 경계 태세를 취하고 있다. K2 소총에 장착된 조준경이 눈의 띈다. 해병대는 병사용 전투장비 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사진=해병대 제공


임수 완료. 기자로 귀환. 19일 울릉도 상륙과 수색 정찰 작전을 모두 마친 해병대원들이 어둠이 깔리는 해안가를 걸어 숙영지로 귀환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제공임수 완료. 기자로 귀환. 19일 울릉도 상륙과 수색 정찰 작전을 모두 마친 해병대원들이 어둠이 깔리는 해안가를 걸어 숙영지로 귀환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제공


해병대가 울릉도와 독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우발상황에 대비해 첫 중대급 부대 전개 훈련을 실시했다.

해병대는 지난 18일부터 내달 13일까지 울릉도에서 중대급 전개훈련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4주간 진행되는 이번 훈련에는 중대급 병력 90여명이 참가했다. 울릉도에서 해병대 중대급 병력이 상륙해 전개훈련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3년 시작된 소대급 전개훈련이 올해부터 중대급 훈련으로 확대됐다.


이번 훈련은 신속대응전력 임무수행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중대급 부대가 울릉도에 상륙해 도서 지역의 복잡한 작전환경을 극복하고 도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우발상황에 대비해 계획됐다.

관련기사



특히 울릉도를 거점으로 유사시 독도까지 신속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확충하는 것도 훈련의 목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번에는 독도방어훈련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병대의 이번 훈련은 위기가 발생한 울릉도 방어 임무를 부여받은 해병대 중대급 신속대응 전력이 해군 상륙함(LST·비로봉함)을 이용해 출항하며 시작됐다. 지난 19일 울릉도 사동해안에 상륙한 부대는 해안 정밀 탐색 작전을 하며 본격적인 울릉도 전개훈련을 시작했다.

부대는 4주간 전개훈련 기간 중 신속대응 전력 임무에 부합하는 다양한 훈련 과제를 숙달할 예정이다. 개인 및 공용화기 사격훈련, 헬기 레펠훈련, 불시 출동태세 점검과 함께 도서 내 국지도발 상황과 연계한 민·관·군 대비태세 숙달 훈련이 이뤄진다.

또 신속기동부대 운용 개념과 연계한 인도적 지원, 재해·재난 구조훈련도 병행한다. 부대는 태풍·폭설·해일 등 자연재해와 이로 인한 구조·피해복구 활동에 취약한 도서 지역 특성을 감안해 예상 상황을 고려한 인도적 지원, 재해·재난 구조훈련도 한다. 도서 지역 주민 고립감과 민·군 거리감을 해소하고 생활 편의를 지원하기 위해 찾아가는 의료지원, 해안 환경정화, 농가 일손 돕기 등도 실시할 예정이다.

해병대는 울릉도 전개훈련과 별개로 2016년 9월 폭우로 인한 산사태 등 피해가 발생한 울릉도에 신속대응부대 중대급 병력을 투입해 1주일간 재해·재난 복구 지원을 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울릉도에 최소 중대급 병력과 헬기, 고속주정 등을 상시 배치해 다양한 우발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훈련 부대를 지휘하는 중대장 김형도 대위는 “이번 울릉도 전개훈련을 통해 언제 어떠한 작전환경에서 임무가 부여되더라도 완벽하게 완수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