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질자원연구원, 동남권 지진 정밀 탐지 기술 고도화 한다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MOU

지난 24일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 내 대회의실에서 하루오 하야시(왼쪽 4번째)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 소장과 신중호(왼쪽에서 5번째)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이 MOU를 체결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지질자원연구원지난 24일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 내 대회의실에서 하루오 하야시(왼쪽 4번째)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 소장과 신중호(왼쪽에서 5번째)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이 MOU를 체결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지질자원연구원


2016년 7월 울산해역지진(규모 5.0)과 9월 발생한 경주지진(규모 5.8)으로 한반도 동남권의 지진 위험이 증가면서, 지진탐지기술의 고도화와 지진 관측망 확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지진관련 연구기관이 지진 연구분야에서 협력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지난 24일 일본 이바라키현 츠쿠바시에서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와 지진 분야 연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NIED는 지진 및 자연재해연구 분야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일본 국립연구소다.


이날 체결식에는 신중호 KIGAM 원장과 하루오 하야시 NIED 소장 등 두 기관의 핵심 인사들이 자리를 함께했다.

관련기사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는 광대역관측소를 종전 6곳에서 9곳으로 늘리고, 실시간 지진 관측 자료 공유 체계의 개선을 통해 지진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지진 관측·분석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한반도 동남권의 지진을 정밀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향후 KIGAM은 일본 서남부 지역의 지진 자료를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한반도 동남권 지역의 정밀 지진 탐지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신중호 KIGAM원장은 “NIED와의 연구 협약을 통해 우리나라의 지진 탐지·분석의 고도화와 실용적 기술 확보가 가능해 졌다”라고 말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