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84% “공익 큰 재판 중계방송 허용해야”

시민 대부분 '연예인' 공인으로 인식

공인 아닌 사람 1위 ‘사고 유가족’…‘사생활 보호 해줘야’

이재용 재판, 뜨거운 국민적 관심에도 불구 ‘생중계 불허’/연합뉴스이재용 재판, 뜨거운 국민적 관심에도 불구 ‘생중계 불허’/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공익이 큰 중대사건은 1심이나 2심 재판 중계방송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성인 남녀 1,041명을 대상으로 21∼26일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4%가 공익이 큰 중대사건 재판의 중계방송에 찬성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포인트(p)다.


응답자의 83.7%는 공인의 범주를 ‘공직자가 아니더라도 널리 유명해 사회에 영향력이 있는 사람’으로 규정했다.

시민들이 ‘공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직업군은 국회의원(93.9%)이다. 서울시장 등 지방자치단체장(93.4%), 판사(82.0%), 방송국 앵커(80.4%), 가수·탤런트 등 연예인(76.3%), 경찰관(76.2%), 소설가·영화감독 등 문화예술인(66.1%), 재벌 및 대기업 대표(63.8%)가 뒤를 이었다.


유명 연예인이 공인인가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있었지만, 시민 대부분은 연예인을 이미 공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밖에 운동선수(61.1%), 중고교 교장(58.9%), 국회의원 선거 출마후보자(58.3%), 신문사 편집국장(56.8%), 대학교수(56.7%), 성직자(56.2%), 기자(55.7%), 중고교 교사(52.3%) 등도 공인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시민들이 공인이 아니라고 답한 비율이 높은 사람들은 유명 범죄·사고 유가족(93.4%), 유명 범죄·사고 피해자(86.9%), 파워 블로거(76.0%), 웹툰 작가(62.8%), 프로게이머(60.9%), 중소기업 대표(58.0%), 변호사(52.0%) 등이었다.

웹툰 작가와 프로게이머의 경우 공인이 아니라는 답변이 많았지만, 공인이라고 응답한 시민도 37∼39%에 달해 인터넷 발달 등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인의 개념도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67.7%는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개인의 명예나 사생활 같은 인격권보다 국민의 알 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다만, 공인일지라도 레저나 쇼핑 등 순수한 사적 영역은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72.2%)도 매우 많았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