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두 사업을 추진할 정밀의료사업단이 5일 고려대 의대에서 개소식을 갖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사업단은 올해부터 오는 2021년까지 5년간 난치암 환자의 유전자 변이에 맞춘 항암요법 개발(국비 430억원), 병·의원들이 병원정보시스템을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구축해 정밀의료에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병원정보시스템 개발(국비 201억)을 추진한다.
정밀의료는 개인의 진료·유전·생활습관 정보 등 건강관련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치료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인 맞춤 의료를 말한다.
암 정밀진단·치료법 개발사업단은 표준요법이 듣지 않는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의 유전자 맞춤형 항암치료 임상시험을 설계·관리한다. 임상 결과를 취합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복지부에 항암제의 적응증 확대 및 판매허가, 신의료기술 인정 신청도 한다.
김열홍 사업단장(고려대 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은 “3만명으로 추정되는 재발·전이성 고형암 환자 중 1만명의 유전정보를 분석, 정상인과 염기서열이 다른 변이 부위를 파악한 뒤 이 유전자를 억제하는 표적·면역항암제로 치료하는 임상시험을 통해 3개 이상의 차세대 표준 항암요법을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항암제는 임상 2상 시험 단계일 수도 있고 이미 다른 암 치료제로 쓰이고 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지만 전이율이 높은 폐암·위암·대장암의 경우 연간 5,000~1만3,000명이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한 치료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단에는 고려대 안암병원과 삼성서울·서울대·서울아산병원과 가천대길·건국대·경북대·분당서울대·분당차·전북대병원, 임상시험 글로벌선도센터 등이 참여한다.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사업단은 개방형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SW) 형태로 시스템을 개발한다. 병·의원들이 진료, 진료지원, 원무 등 주요 기능을 각자의 규모·환경에 맞춰 모듈 단위로 선택·적용할 수 있다. 환자는 개인 진료정보를 공간적 제한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의사는 진료 때 환자의 건강정보를 다각적으로 검토해 맞춤 진료를 할 수 있다. 고려대의료원과 가천대길·삼성서울·세브란스·아주대·가천대길병원과 삼성SDS·크로센트 등 SW·클라우드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상헌 사업단장(고려대의료원 연구부원장)은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방·중소병원의 낙후된 병원정보시스템을 대체하고 보안 전담인력 부재에 따른 개인 의료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