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깝게도 장기이식 대기자가 하루에 3명꼴로 숨지고 있습니다.”
강치영(54) 한국장기기증협회 회장은 오는 9일 장기기증의 날을 앞두고 민관이 협력해 국민적인 장기기증운동을 전개해야 하는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부산 토박이로 무역업을 하던 강 회장은 지난 1991년 “장기기증은 사람을 살리는 일, 지구보다 무거운 생명을 살리는 일”이라는 믿음으로 장기기증을 알리는 일에 뛰어들었다. 2000년 ‘뇌사 입법 및 장기이식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기 전까지 강 회장과 같은 민간인이 병의원과 연계해 장기이식을 주도했다. 강 회장은 “장기 밀매 등의 부작용이 워낙 심해지다 보니 정부가 등 떠밀리다시피 장기기증을 제도적으로 관리하게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민간을 비롯한 대한이식학회와 한국장기기증학회 등의 노력으로 현재 국내 장기기증 서약자는 180만명에 이르렀다. 장기이식 성공률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2015년 기준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2만7,444명인 데 비해 장기기증자 수는 대기자의 10%도 안 되는 2,565명에 불과하다.
강 회장은 이런 상황에서 정부나 민간 그 어느 한쪽이 관련 활동을 주도할 것이 아니라 각계각층이 똘똘 뭉쳐 장기기증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대로 가면 장기이식 대기자 사망률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강 회장은 국내 장기기증 부족 현상의 원인으로 장기기증 제도가 미흡하고 장기기증자에 대한 처우가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
현행법상 뇌사자가 장기기증 의사를 밝혀도 가족 1명이 동의해야 기증이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장기기증이 무산되는 일도 잦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