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슈뢰더 전 독일 총리 "北 도발 중단시 대화 가능하다는 文 대통령 입장 고수돼야"

文 대통령 외교 안보 정책 옹호

"서독의 대동독 정책은 접근을 통한 변화"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왼쪽)가 11일 오전 국회를 찾아 의장 접견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왼쪽)가 11일 오전 국회를 찾아 의장 접견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는 11일 북한이 도발을 중단한다면 대화를 재개할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입장이 고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특별강연에서 슈뢰더 전 총리는 “공동의 목표는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평화적 솔루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은 가차없이 위협하고 있지만 한국은 대화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면서 “문 대통령은 북한이 대화할 조건을 갖춘다면 대화를 재개하겠다고 했는데 힘든 길이겠지만 이 입장이 고수돼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슈뢰더 전 총리는 이날 한국과 독일이 역사적 운명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양국 사이의 접점을 중점적으로 거론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독은 2차 대전 이후 대서양체제였고 동독은 바르샤바 조약기구로 통합됐지만 그럼에도 대화는 계속 가능했다”면서 “이는 빌리 브란트 총리 하에서 포괄적 긴장 완화 정책으로 발전했고 통일의 기틀이 마련돼 화해도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독의 대동독 정책을 ‘접근을 통한 변화’로 규정하며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돼 동독의 주민들이 서방세계로 차단되는 걸 막았음에도 수백만 명이 (동독을) 방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한 슈뢰더 전 총리는 북한 인권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독일은 북한 대사관이 있는 유럽의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며 인도적 지원도 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북한의 인권 침해, 예를 들어 수용소 인권 침해는 엄격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