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공공 콜센터 정규직화...준공무원 남발하나

지자체·공기업 실태조사 착수

"공공 비대화 부작용" 목소리



서울·경기 등 수도권 일대의 상당수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들이 그간 외주였던 콜센터 업무를 직접 운영하기 위한 실태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하도급 업무도 비정규직 카테고리에 넣으면서 벌어진 현상으로 민간기업의 정규직 인력들이 공공기관으로 빠지는 등의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콜센터 시장에서 공공 부문의 민간영역 잠식이 급속히 이뤄져 비대화·비효율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콜센터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11일 “공공기관들이 정규직을 고용해 콜센터를 운영하기 위한 실태조사에 들어갔다”며 “어떤 부서가 얼마만큼 외주를 주고 기존 계약은 얼마나 남았는지, 정규직 인원 충원 시 얼마나 채용해야 하는지 등을 두루 살펴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하도급에 대해서는 민간기업 정규직도 비정규직으로 간주하면서 민간기업들은 일거리도 잃고 잘 키운 정규직 직원도 빼앗기고 있어 황당하기까지 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간 최대 2조3,000억원에 이르는 아웃소싱 콜센터 시장에는 효성ITX·유베이스·메타넷엠씨씨 등 다양한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산업 생태계가 왜곡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온다. 한정된 시장에 거대 공룡에 비견될 공공기관이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공공기관 물량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중소업체는 물론 대기업도 일감 부족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 분야의 일감이 많은 소프트웨어(SW)·시스템통합(SI) 분야 등이나 정부의 입김이 강한 금융권 등도 정규직화의 영향권에 들어서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 대기업 임원은 “인력이 빠져나가는 데도 일자리 창출이라는 명분에 눌려 말도 못 꺼내는 판”이라며 “정부가 이런 기업의 애환을 아는지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