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31년 전력예비율 22%”…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잠정 확정

전문가 워킹그룹… “신재생 백업설비 필요해 예비율 유지”

전력정책심의위원회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의 적정 설비예비율을 22%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는 2년 전에 마련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5~2029년) 때 예비율 전망치 22%(2029년)와 같은 수준이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정책심의위원회 예비율 워킹그룹은 13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6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잠정 결론을 내렸다.

적정 설비예비율은 비상상황에 대비해 확보하는 추가 발전설비의 비중을 말한다. 발전소 정비나 고장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최소 예비율’과 수요 변동 등에 대응하는 ‘수급 불확실 대응 예비율’로 구성된다. 이날 산정된 22%는 최소 예비율 13%와 수급 불확실성 대응 예비율 9%로 구성된다.


전련정책심의위는 지난 8월 공개한 초안에서는 2031년 적정 예비율을 20~22% 수준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당시 초안이 공개됐을 때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발을 맞춰 7차 때보다 적정 예비율이 최대 2%포인트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 됐었다. 하지만 결국 이날 워킹그룹은 7차 때와 같은 수준인 22%로 결론을 내렸다.

관련기사



워킹그룹이 7차 수급계획 때보다 예비율을 더 낮추지 않은 것은 8차 수급계획 때 신재생에너지 보완 설비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백업 설비 예비율 등의 변수를 추가해 구체적인 수치를 도출해냈다.

참석자들은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신재생 전원을 간헐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이른 시일 안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 발전소 등 백업 설비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