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시술 후 필수품"…판 커지는 습윤밴드

단순 상처 치료제 입지 뛰어넘어

쁘띠성형·피부 미용 등서 수요↑

고속성장으로 기존 일반밴드 위협

올해 시장규모 300억 돌파 전망

멍 치료제도 판매량 대폭 늘어

깨끗한 피부를 원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국내 상처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단순히 상처를 치료하는데 쓰인다고 여겼던 습윤드레싱제(습윤밴드)나 멍 치료제가 피부·미용 시술 후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관련 제품만 50여종에 달하는 등 시장이 빠르게 커지는 모습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흉터를 치료하고 새살이 자리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습윤밴드 시장 규모가 올해 3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습윤드레싱제는 상처가 난 부위의 염증 및 흉터를 방지하기 위해 부착하는 밴드나 거즈를 말한다. 시장조사기관 IMS헬스 자료에 따르면 올해 2·4분기 기준으로 습윤밴드 시장의 규모는 296억 원으로 지난 2014년에 비해 45% 성장해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 말에는 3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115A15 습윤밴드 시장 규모 수정1




시장에 뛰어드는 기업들도 대폭 늘었다. 현재 습윤밴드시장은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먼디파마의 ‘메디폼’을 필두로 대웅제약의 ‘이지덤’, 보령제약의 ‘듀오덤’, 일동제약의 ‘메디터치’ 등 무려 50종이 넘는 브랜드가 시장에 출시돼 선두 다툼을 벌이는 중이다. 올해에도 동국제약이 마데카 습윤밴드를 출시해 신규 진입하는 등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업계는 습윤밴드 시장이 기존 일반밴드 시장을 위협할 정도로 고속 성장하는 이유를 피부미용·성형 산업의 발전에서 찾고 있다. 예전에는 다치거나 피부가 긁히는 등의 상처가 났을 때 흉터가 남지 않도록 붙이는 의료용 치료제로 여겨졌지만 요즘 더 잘 팔리는 곳은 피부미용 업계라는 말이다.

관련기사



업계 한 관계자는 “점을 빼거나 잡티를 제거하는 레이저 시술을 받은 후 그대로 두는 것보다 습윤밴드를 부착하면 좀 더 흉터가 덜 남고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고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았다”며 “일부 성형외과나 피부과 등에서는 의료진이 특정 상품을 직접 권해주는 경우도 있는 걸로 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시장에는 피부미용 시술 후 사용할 수 있는 습윤밴드가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다. 일례로 한국먼디파마는 지난해 6월 작고 눈에 띄지 않으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얇은 원형 형태의 패치 제품을 출시해 5개월만에 판매량이 336% 급증하는 등 대박을 터뜨렸다. 한국먼디파마 관계자는 “기존 폼 형태는 작게 잘라 쓰기 불편한데 작은 사이즈로 나와 얼굴에 붙여도 잘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기를 끌었다”며 “특히 올해 추석 연휴처럼 긴 명절 때는 피부·미용 관리 시술을 받는 소비자들이 많아 전통적으로 매출이 급상승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습윤밴드뿐 아니라 멍 치료제나 상처 치료제 등 의외의 제품도 미용·성형 시장과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상처치료제 시장은 약 1,000억원 대로 추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용시술 등을 받은 후 생긴 멍이나 부기를 빨리 회복시켜준다는 점에서 수년 전부터 멍 치료제의 판매량이 대폭 늘었다”며 “젊은 여성 고객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 광고 등이 부쩍 늘어난 것도 이런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