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경주서 7~8세기 신라왕궁 수세식 화장실터 발견

바가지로 물 떠 오물 밑으로 흘려보내는 방식

안압지로 알려져 있는 경주 동궁(東宮)에서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됐다./연합뉴스안압지로 알려져 있는 경주 동궁(東宮)에서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됐다./연합뉴스


안압지로 알려져 있는 경주 동궁(東宮)에서 통일신라 시대인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수세식 화장실 유적이 나왔다. 우리나라 고대 화장실 유적 중 화장실 건물과 변기, 오물 배수시설이 모두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 북동쪽 지역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초석 건물지 안에서 석조 변기와 배수시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석조 변기는 화강암을 가공해 만들었다. 기울어진 암거(暗渠·물을 빼낼 수 있도록 밑으로 낸 도랑)가 있는 타원형 변기 좌우에 발을 디딜 수 있게 널찍한 직사각형 판석이 놓여 있다.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 용변을 보면 오물이 암거로 빠져나가는 형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물을 흘려보내는 설비가 따로 갖춰지지 않은 점으로 미뤄 항아리에서 물을 떠 변기에 흘려 오물을 씻어 내렸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고급 석재인 화강암을 썼고, 변기 하부와 배수시설 바닥에 타일 기능을 하는 전돌을 깐 것을 보면 신라왕실에서 사용한 고급 화장실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금까지 고대 화장실 유적은 경주와 익산 등지에서 발견됐다. 익산 왕궁리에서는 7세기 배수저류식 화장실 유적과 뒤처리용 나무 막대기가 나왔다. 석조 변기는 없었다.

경주 불국사에서는 8세기에 제작된 변기형 석조물이 출토된 바 있다.

동궁과 월지(月池)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직후인 674년에 만들어졌다. 1975년 조사에서 인공 연못과 섬, 건물지가 발굴됐고 유물 3만여 점이 나왔다. 2007년부터 동궁과 월지 북동쪽에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