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추석연휴 졸음 운전 사고 발생 평일 주말보다 27% 높아"



추석 연휴로 고속도로 위 귀향객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졸음운전이 평소보다 일평균 27%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30일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012∼2016년 삼성화재 자동차보험 교통사고 자료와 경찰청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추석 연휴 기간 사고특성과 예방대책’을 발표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추석 연휴 때 일평균 사고는 2,194건으로 평소 주말 사고 건수(2,093건)와 비교해 4.8%(101건) 더 많았다.



특히 졸음운전 사고는 추석 연휴 일평균 13.9건으로 평소 주말(10.9건)보다 27.5%(3.0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 연휴 교통사고 발생 시간대는 주로 오후 2∼8시였다. 이 시간대 발생한 사고가 전체의 39.5%에 달했다.

관련기사



또한 교통 사고 사망자는 오후 10시∼다음날 오전 2시(37.0%)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추석 연휴 기간 중대법규 사고는 신호위반(31.9%), 음주 운전(30.4%) 순이었다.

음주 운전 사고자의 연령대는 30대가 34.0%로 가장 많았고, 20대(22.8%), 40대(21.4%), 50대(16.4%) 등이 많았다.

한편 연구소가 지난 1월 고속도로 4곳에서 승용차 4,957대를 대상으로 안전띠 착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운전석의 착용률은 95.4%, 조수석은 86.9%에 달했으나 뒷좌석은 48.3%에 그쳤다. 또 카시트와 같은 어린이보호장구 착용률도 54.7%에 불과했다.

안전띠를 매지 않았을 때 교통사고 치사율은 맸을 때의 12배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