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LG, '소비자 선택권 침해' 유감....'트럼프의 한국 경제 전방위 압박' 우려 커져

ITC 판정, 공청회 등 통해 적극 반박키로

미국 가전 공장 설립 등은 예정대로 집행

FTA 개정 협상 등 갈등 속 우려 목소리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한국 브랜드 세탁기로 인해 자국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정한 데 대해 소비자 선택권을 강조하며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재계는 도널드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를 염두에 두면 이번 판정도 어느 정도 예상됐던 일이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최근 한미 관계가 최고조의 북핵 위기 속에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등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우려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한국 경제가 자칫 미국의 전방위 압박 속에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도 감지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일단 ITC 세탁기 공청회 등을 통해 ‘미국 소비자의 선택권 침해’ 가능성을 언급하며 반격에 나서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6일 자체 뉴스룸에 올린 영문으로 입장 발표문을 내고 “ITC의 (자국 산업 피해를 인정한)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전자 세탁기에 대한 수입 금지는 선택권 제한, 가격 상승, 혁신 제품 공급 제한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는 결국 미국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LG전자도 이날 ITC 결정에 대해 “예측했던 결과”라고 하면서도 “최종 세이프가드 결정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관계자는 “LG 세탁기를 선택한 것은 미국의 유통과 소비자”라면서 “따라서 세이프가드가 실제로 발효된다면 피해는 결국 미국의 유통과 소비자가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19일 열릴 구제조치 공청회에서 이런 점을 적극적으로 소명하는 한편 제소업체인 미국 월풀이 LG 세탁기로 피해를 보지 않았다는 점도 입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오는 19일과 21일로 예정된 구제조치 관련 공청회 및 표결 절차에서 우리 정부, 업계 단체 등과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세이프가드가 현실화할 경우 미국 소비자 선택권을 저해할 것’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하기로 했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달 7일 미국 워싱턴DC의 ITC 사무소에서 열린 세이프가드 조사 공청회에서도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참석해 부당함을 강조하는 한편 이와 관련한 의견서도 공동 제출한 바 있다. 전자 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 언론들조차 이번 결정을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며 “우리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두 회사는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LG전자는 러스트벨트(Rust Belt·5대호 연안의 쇠락한 전통공업지대) 지역인 디트로이트에 전기차 부품공장을, 테네시주에는 세탁기 공장을 짓기로 했다. 또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27년 만에 가전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미국에 투자는 투자대로 하고 외교 안보 이슈, 한미 FTA 이슈 등과 얽혀 실리는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지만, 양사는 투자는 계획대로 집행한다는 입장이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