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의사 90%, 심평원 '부적합 처방' 경고 무시

1015A16 DUR 정보제공에 따른


의사 10명 가운데 9명은 처방한 약들을 함께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거나 임신부·어린이 등에게 부적합하므로 처방을 변경하라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경고’를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의사들이 약을 처방할 때 심평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팝업창에 경고 문구가 떠도 처방을 변경하는 비율은 10% 안팎에 그쳤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보건소가 7.6%로 가장 낮았고 병원 8.5%, 상급종합병원 8.8%, 의원 11.4%, 종합병원 13%에 그쳤다. 심평원은 DUR시스템을 통해 의사들이 약물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함께 처방하면 안 되거나(병용금기) 어린이·노인·임신부 등에게 쓰면 안 되는(연령·임부금기) 약을 처방하면 팝업창을 띄워 안전한 처방·조제를 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DUR 팝업 경고창이 뜨는 문제의 처방전도 10건당 1건 안팎으로 상당했다. 상급종합병원이 13.1%로 가장 빈번했고 보건소 11.3%, 종합병원 11.1%, 병원 9.6%, 의원 7.3% 순이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병원은 그 비율이 2011년의 2배를 웃돌았다. 전 의원은 “공공보건의료의 최일선에서 국민보건 향상을 담당하는 보건소의 처방변경률이 가장 낮다는 것은 언제든 약화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며 “실태 파악과 원인분석을 통해 DUR 정보 수용률 향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노인 등 연령금기 의약품 처방변경률은 76%(의료기관 전체)로 높은 편이었지만 병용·임부금기 의약품의 처방변경률은 13%대에 그쳤다. 보건소와 의원의 연령금기 의약품 처방변경률은 82%대로 의료기관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보건소의 임부금기 의약품 처방변경률은 6.2%로 의원(49.8%)의 8분의1을 밑돌았다. 임부금기 의약품은 태아에게 기형·독성 등 심각한 위해성을 유발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아 처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