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재원 정식품 명예회장 별세, '유당불내증' 아기들을 위해 '베지밀' 만든 고인

향년 100세로 지난 9일 별세한 정재원 정식품 명예회장은 국내 두유의 시초인 ‘베지밀’을 개발한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모유·우유를 소화하지 못해 죽어가는 아이들을 위해 두유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1917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난 고인은 홀어머니 아래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공부해 19세 나이에 최연소로 의사검정고시를 합격한 바 있다.


1937년 명동 성모병원 소아과에서 의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일주일 만에 설사와 구토 증세가 심한 갓난 아기를 환자로 받았다. 아기에게 약도 주고 주사도 처방했지만 결국 세상을 떠났고, 이후로도 원인 모를 영양실조와 합병증으로 죽어가는 아이들을 계속 보았던 것.

아이들을 보며 의사로서의 죄책감과 사명감을 느낀 그는 44세에 유학길에 올랐다. 영국 런던 대학원과 미국 샌프란시스코 UC 메디컬센터 등을 거치면서 5년간 유학 생활을 한 고인은 아기들의 사망 원인이 모유나 우유에 함유된 유당 성분을 정상적으로 소화시키지 못하는 ‘유당불내증’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이후 아기들의 치유식 개발을 위해 콩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고인은 1966년에 유당이 없고 3대 영양소가 풍부한 콩을 이용해 만든 선천성 유당불내증 치료식 두유를 개발, 식물성 밀크(Vegetable+Milk)라는 뜻의 ‘베지밀’(Vegemil)로 이름 지었다.

관련기사



고인은 이를 계기로 1973년 정식품을 창업했고, 1984년 세계 최대의 규모와 시설을 갖춘 청주공장을 준공한 바 있다.

고인은 시장 1위 브랜드 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전문회사인 ‘자연과 사람들’을 설립해 경쟁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만든 두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 “누구든 공부에 대해 가슴앓이를 하지 않게 만들어 주고 싶다”며 1984년 ‘혜춘장학회’를 설립해 지난 33년 간 약 2350명에게 21억 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한편 고인의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이며 발인은 12일 오전 8시, 장지는 용인천주교묘지로 전해졌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