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서 반향, 한강 '전쟁 트라우마' 한국인 심정 'NYT' 뜨거운 반응

소설가 한강(47)이 ‘전쟁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 한국인들의 깊은 심정을 담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기고한 글이 미국 내에서도 반향을 보이고 있다.

한강은 ‘미국이 전쟁을 언급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기고문은 뉴욕타임스 선데이리뷰(8일자) 전면에 실렸다. 뉴욕타임스는 북한의 호전적인 내부 분위기를 소개한, 고정 칼럼니스트인 니콜라스 크리스토프의 방북기와 나란히 배치해 대조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9일(현지시간) “한강은 60년 대치상황에서 축적된 불안감에 순응한다는 게 곧 굴복을 의미하는 게 아니며, 한국인들이 평화를 강하게 갈망하고 있다는 점을 다뤘다”고 밝혔다.

한강의 기고문은 온·오프라인을 통틀어 가장 많이 읽히고 논쟁의 중심에 오른 글 가운데 하나로 꼽혔고, 온라인에는 수많은 ‘장문’ 답글이 더해졌다. 그만큼 대북 이슈에 대한 미국 내 높은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애틀의 N. 아처는 “우리는 서울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들어야 한다. 매일 같이…”라는 댓글을 실었다. 한국인들의 솔직한 심정을 보다 이해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도 제기됐다.


저지시티 출신의 라이오넬 후츠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정치적 이유로 긴장을 높이고 있다”면서 “한반도의 전쟁은 상상할 수 없는 비극으로 이어질 뿐”이라고 한강의 글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관련기사



그렇지만 북한 김정은 정권이 미국 본토까지 위협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히 경고하는 상황과는 맞지 않는 감성적인접근이라는 반론도 많았다.

뉴욕의 피트는 “가슴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당신의 주장에 100% 공감할 것”이라며 “불행하게도 트럼프는 터프하게 보이는 데에만 관심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강이 1950년대 한국전쟁을 이웃 강대국의 ‘대리전’으로 평가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반박이 이어지기도 했따.

워싱턴의 한 네티즌은 “한강 기고문은 아름답고 가슴을 울리지만 과연 김정은도 관심을 갖겠는가”라며 “분명 한국전쟁은 (대리전이 아니라) 북한의 남침으로 터졌다”고 적었다.

앞서 한강은 기고문에서 “우리는 바로 국경 너머에 있는 북한이 또 핵실험을 할까, 방사능이 누출될까 무섭다”면서 “우리는 서서히 고조되는 말싸움이 실제 전쟁으로 번질까 두렵다”고 한국인들의 속 깊은 인식을 전한 바 있다.

한반도 위기에도 짐짓 태연한 듯 지내는 한국인들에 대해서도 “이런 고요함이 한국인들이 정말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까. 모두가 전쟁의 공포를 진실로 초월해냈을 것 같으냐”는 물음을 던지면서 절대 그렇지 않다고 언급했다.

한강은 특히 “우리는 평화가 아닌 어떤 해결책도 의미가 없고, 승리는 공허하고 터무니없으며 불가능한 구호일 뿐이라는 걸 안다”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