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예술대 학생들 “비싼 등록금 받고도 실습비는 10%에 불과”

예술대등록금대책위 집단행동 나서

"100만원 넘는 등록금 사용처 불명확"

자체 정보공개청구로 실습비 확인해보니

등록금의 10% 내외로 사용해

"사용처 공개하고 등록금 학생 위해 써야"

예술대학생등록금대책위와 반값등록금국민본부·청년참여연대·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관계자들이 10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예술대 등록금의 사용처를 공개하라고 주장하고 있다./신다은 기자예술대학생등록금대책위와 반값등록금국민본부·청년참여연대·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관계자들이 10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예술대 등록금의 사용처를 공개하라고 주장하고 있다./신다은 기자


전국 15개 예술대학 학생들이 타 대학 대비 100만원을 웃도는 예술대 등록금의 사용 출처를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예술대학생등록금대책위원회는 10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타 계열에 비해 100만원 이상 비싼 예술계열 등록금의 산정근거를 공개하라”고 밝혔다.


신민준 대책위 임시대표 겸 홍익대 예술대 학생회장은 “매년 비싼 등록금을 내고도 예술계열 학생들의 교육여건은 열악하기만 하다”며 “매년 겨울마다 난방이 안 돼 붓이 얼었고 파카를 입은 채 작업을 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윤정원 동국대 예술대 학생회장은 “등록금 외에도 가마비·조형비 등 학기별 재료비를 100여만원씩 별도로 지출해야 했다”며 “등록금이 비쌀수록 가계형편이 좋은 이들만 예술을 배우는 사회적 차별을 양산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실제로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예술계열 25개 사립대학의 올해 평균 등록금은 451만원으로 인문계열보다 14% 더 비쌌고, 25개 국립대학 평균 등록금도 인문계열보다 10%가량 비쌌다. 개별 대학 중에서는 연세대 디자인예술학부가 522만원으로 사립대학 중 가장 비쌌고, 서울대 미술대가 369만원으로 국립대학 중 가장 비쌌다.

그러나 대책위가 이날 정보공개청구와 결산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홍익대·국민여대·숙명여대·서울과학기술대 예술대 실습비 배정 내역에 따르면 실제 실습비로 사용되는 금액은 15만~21만원으로 전체 등록금의 20% 내외였다. 학교 측은 “나머지 80%의 금액은 학생들의 실습공간을 임대하는 비용과 재봉·조형 도우미 등 인건비로 충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책위는 “학생 1명당 100만원씩 5,000여명에게 등록금을 더 거두는데 임대료와 인건비로만 50억을 쓸 리가 있느냐”며 사용처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책위가 지난 9월 20일부터 한 달 간 예술계열 전공자 6,0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9.2%는 대출이 있다고 답했으며, 1,000만원 이상 대출을 했다는 응답자도 5.3%(325명)이었다. 또 “등록금을 낸 만큼 교육여건에서 적합한 환경을 보장받고 있냐”는 물음에 85.7%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