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軍 전시대비 물자 턱없이 부족...“안보 위기 이어질 수도”





한반도 전시 상황에서 우리 군이 외부 공급 없이 일정기간(60일) 전투장비 가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비축해야 하는 ‘전투긴요 수리부속’이 목표량의 78%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국회 국방위원회의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전투긴요 수리부속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군이 확보해야 하는 전투긴요 수리부속 목표량은 총 65만 3,000점이지만 실제 비축하고 있는 양은 78.4%인 51만 2,000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투긴요 수리부속의 90%를 차지하는 육군의 경우 총 59만점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지만 76.1%인 45만점에 그쳤다. 육군은 K1전차에 사용되는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조준경 하부조립체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해군과 공군의 경우 각각 92.5%와 98.3%를 확보하고 있다. 해군은 이지스 전투체계에 사용되는 증폭기 등을, 공군은 FA-50·KF-16에 부착하는 레이더 등이 부족하다.

반면 전투긴요 수리부족과는 정반대로 일반 수리부속품의 경우 활용되지 못하고 창고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군 수리부속 재고 및 수요 미발생 현황’에 따르면 일반 수리부속 전체 재고 수량 중 2,693억원 어치 177만여점이 지난 10년간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개전 초기 전투긴요 수리부속의 부족은 우리 군의 작전임무 수행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해 안보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해 더이상의 국민 혈세 낭비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