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첫 공식회의 가진 4차산업혁명위원회…사람 중심 정책 논의

정부·민간위원, 4차 산업혁명 개념 공유 및 정책 수립 방안 논의

유영민 장관 "적극적 대응으로 일자리 창출·사회문제 해결 가능"

백승욱 민간위원 "사전규제 완화·실패 용인하는 환경 조성 필요"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산업 전반의 변화에 대한 대응을 위해 대통령 직속 조직으로 신설된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첫 회의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11일 서울 상암동 에스플렉스(S-PLEX)에서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문 대통령과 위원회 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민간이 생각하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위원회 운영 방안과 기본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하는 산업·경제, 사회·제도, 과학·기술 전 분야의 변화에 맞춰 각 분야가 긴밀히 연계된 종합 정책을 통해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민간위원인 백승욱 루닛 대표가 정부와 민간을 대표해 각각 ‘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와 대응방향’과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현황’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유 장관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존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백 위원은 정부에 현재 사전적으로 이뤄지는 규제를 사후 방식으로 전환하는 한편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 및 제1차 회의에 앞서 주형철(오른쪽 첫번째)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으로부터 음성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캐릭터로봇 ‘뽀로롯’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유영민(〃 두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장병규(〃 네번째) 4차산업혁명위원장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 및 제1차 회의에 앞서 주형철(오른쪽 첫번째)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으로부터 음성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캐릭터로봇 ‘뽀로롯’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유영민(〃 두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장병규(〃 네번째) 4차산업혁명위원장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연합뉴스


회의를 주재한 문 대통령은 발표를 들은 뒤 혁신성장 생태계를 구축하고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하고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는 등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5명의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위원회의 운영세칙을 정하고,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 주재로 ‘혁신성장을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방향’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지난달 25일 구성이 완료된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위원장으로 위촉된 장병규 블루홀 이사회 의장을 포함한 민간위원 20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중소기업벤처부 장관과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등 모두 25명으로 구성됐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