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통시장 청년상인 3곳 중 1곳 폐업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원사업 대상 철저히 검증해야"

박근혜 정부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야심 차게 추진했던 청년상인 지원사업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내놓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5~2016년 전통시장 청년상인 영업실태조사 결과, 2015년 생존율 60.1%, 2016년 생존율 76.4%으로 2년 평균 67.4%로 나타나 3개 점포중 1곳이 문을 닫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5~2016년간 지원한 청년상인 396명중 28.8%인 114개 점포는 폐업하고, 3.8%인 15개 점포는 휴업해 267개 점포가 영업 중이며 점포를 폐업한 사유를 보면 경영악화 78.1%, 점포이전 5.3%, 기타(학업, 취업 등) 16.7%로 나타났다.


전통시장별 영업현황을 보면 2015년 지원 사업중 광주 무등시장(전체 10개 점포)과 창원 부림시장(12개 점포), 2016년에 지원된 서울 금천 대명여울빛거리시장(6개 점포)과 부산 국제시장(10개 점포) 등은 단 1개 점포만 현재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광주 1913송정역시장이나 원주 중앙시장 등은 고객들이 다시 찾아오면서 전통시장이 활기를 찾고 상인들의 매출도 오르는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는 시장도 있다.

관련기사



김병관 의원은 “우선적으로 지원사업의 특성상 대상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전통시장 청년상인 지원사업 선정시 철저한 검증 절차를 거쳐 대상자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아울러 청년 상인들이 전통시장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하고 전통시장의 기존 상인과 소통하여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사후관리도 중요한 만큼, 전국 청년상인의 운영실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청년상인 육성사업의 지원체계를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은 청년일자리 창출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므로 정부, 지자체, 청년상인 그리고 전통시장 상인들의 협업이 무엇보다 요구 된다”고 말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