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문화재의 향기] 경복궁 근정전

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국보 제223호 경복궁 근정전 전경. /사진제공=문화재청





경복궁 근정전(勤政殿)은 조선 시대 법궁인 경복궁에서도 중심 역할을 한 건물이다.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고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린 곳도 바로 여기다. 태조 4년(1395)에 축조됐지만 임진왜란 때 화재가 있었고 지금의 건물은 고종 4년(1867)에 왕궁의 위엄을 강조해 다시 지은 것이다. ‘근정’이라는 이름은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도전이 작명했다. 정종과 세종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여러 왕들의 즉위식이 이곳에서 거행됐다.

관련기사



근정전 주변으로 행각(行閣·행랑 건물)이 둘러싸고 있고 근정전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길 좌우에는 문무백관의 지위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차례로 놓여 있다. 햇빛 가리개를 매달던 고리도 앞마당에 남아 있다. 근정문은 앞면 5칸, 옆면 5칸 크기의 2층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으로 보이는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용도인 동시에 장식적 역할을 한 ‘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라 화려하다. 건물의 기단과 난간 기둥에는 12지신상을 비롯한 동물상들이 조각돼 있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면 외관상 2층인 것과 달리 아래위가 트인 통층이다. 뒤편 한가운데 임금의 자리인 어좌가 있고 그 뒤를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일월오악도’ 병풍이 에워싸고 있으며 위는 화려한 장식이 꾸미고 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