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치매 걸릴까"…피 한방울로 값싸게 예측

서울대 교수팀 조기진단 기술 개발

기존 고액 뇌영상 검사 대체 기대

국내 전문 벤처기업에 기술이전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간단한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국내 기업에 이전된 기술이 임상 시험을 거쳐 실용화될 경우 치매 예방 및 측정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의대 묵인희·이동영 교수팀이 증상이 나타나기 전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여부를 90% 정도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국내 치매전문 벤처기업에 이전했다고 23일 밝혔다.

대표적인 치매 원인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만성적이고 진행성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뇌세포 손상 진행 이전 단계에서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아밀로이드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라는 고가의 뇌영상 검사로 진단해 왔으나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소량의 혈액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 결과를 약 90%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어 조기검진·예측을 통한 의료비용 절감과 사전 예방 가능성이 기대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혈액 내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만 혈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돼 불안정한 측정치를 나타낸다. 연구팀은 새로운 혈액 전처리 기술로 혈중 내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을 확립해 측정의 정확도를 크게 높였다. 이와 함께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혈액 바이오마커 8종(단백질 4종, 혈액 인자 4종)도 새로 발굴해 검사의 정확도를 개선했다.

관련기사



묵 교수는 “대부분의 치매 진단 기술들이 증상이 뚜렷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인데 비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증상이 없는 정상 단계부터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차별화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최근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실패의 원인으로 대상군 진단의 정확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토대로 정확한 대상군을 선별해 임상시험 성공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묵 교수는 정부가 국가치매연구개발 10개년 투자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9월 구성한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의 위원장이며 이 교수는 과기정통부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장을 맡고 있다. 연구결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알츠하이머 연구 & 치료’ 등 다수의 학술지에 발표됐으며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고 해외 각국 특허 진입을 추진 중이다. 또 ㈜메디프론디비티 등 국내 치매전문 벤처기업에 3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하고,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진단키트와 알고리즘 개발도 진행 중이다. 벤처기업으로의 기술이전 선급금은 1억3,000만원이며 경상기술료는 순 매출액의 3%다.

묵인희 교수묵인희 교수




이동영 교수이동영 교수


(A)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혈액검사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결과를 예측함으로써 정상인이 알츠하이머병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B) 기존에 개발된 치매 진단 기술들은 대부분 인지기능이 정상인 사람들과 인지기능 저하가 이미 많이 진행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C) 이에 비해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치매 증상을 보이지 않는 인지기능 정상인 알츠하이머병 환자도 조기에 구분해낼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A)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혈액검사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결과를 예측함으로써 정상인이 알츠하이머병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B) 기존에 개발된 치매 진단 기술들은 대부분 인지기능이 정상인 사람들과 인지기능 저하가 이미 많이 진행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C) 이에 비해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치매 증상을 보이지 않는 인지기능 정상인 알츠하이머병 환자도 조기에 구분해낼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