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협력사 스마트공장 확산에 팔걷고 나선 현대차그룹

박광식(오른쪽 네번째) 현대기아차 부사장과 이영섭(〃세번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25일 화성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2017년 산업혁신운동 및 스마트공장 발대식’에서 손을 맞잡고 중소 제조업체 경쟁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박광식(오른쪽 네번째) 현대기아차 부사장과 이영섭(〃세번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25일 화성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2017년 산업혁신운동 및 스마트공장 발대식’에서 손을 맞잡고 중소 제조업체 경쟁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사진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그룹이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현대차(005380)그룹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25일 경기 화성시 남양연구소에서 ‘2017년 산업혁신운동 및 스마트공장 발대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은 스마트공장 추진 계획을 발표했고 현대차그룹은 협력사 품질경쟁력 확보 방안 및 스마트 공장 구축 우수사례를 공유했다.


스마트공장은 제품기획·설계·제조·공정·유통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 기존 공장을 최적화된 생산시스템 공장으로 변환시키는 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은 산업부와 함께 2013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총 264억원(현대차그룹 251억원, 산업부 13억원)을 지원, 총 1,150개 중소기업(자동차 관련 750개, 기타 400개)의 공정혁신과 스마트공장 전환을 지원한다. 현대차그룹은 또 광주창조혁신센터와 함께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40억원을 지원해 광주지역 200개 중소기업(자동차 관련 100개, 기타 100개)의 스마트공장 구축도 지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은 중소기업 한 곳당 2,000만원을 지원해 스마트공장 전환을 돕고 있다. 특히 업체별 맞춤 지원을 위해 전문 코디네이터와 함께 경영진단을 하고 5가지의 스마트공장 구축 시스템을 적용 중이다. 스마트공장 구축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자동차산업의 11개 업종별 표준모델을 개발, 참여기업에 배포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원을 받은 기업들이 불량률 감소,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등의 성과 지표가 평균 약 57%가량 개선되는 등 실질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광식 현대차그룹 부사장은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협력사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 하겠다”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